대·중소기업간 노동생산성 격차를 줄이기 위해 대기업의 협력 중소기업 지원에 대한 조세 지원을 늘리고 성과공유제를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개최한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조세 지원 확대 등 범부처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중소기업간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상생협력 확성화 방안’에 대해 주제 발표한 노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10인 미만 영세 제조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대기업의 약 8분의 1(12.4%)에 불과하다”며 “일본에 비해 대·중소기업 간 노동생산성 격차가 크고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낮게 나타났다”는 분석결과를 소개했다. 이어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제조업에 비해 낮고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서비스업 전체 평균보다 낮다”며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대·중소기업 간, 중소기업 노·사 간,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상생협력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이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이나 복지수준 향상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에 대해 조세 지원을 확대하는 게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의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성과공유도 직원이 역량 강화와 동기부여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일터혁신을 내놨다. 노 부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산업과 고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체적인 혁신 역량이 부족하다”며 “정부가 중심이 돼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부연구위원은 “현재의 일터혁신 정책의 방향성을 제고해 인사혁신이 아닌 작업조직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추구해야 한다”며 “일터혁신 정책과 사업을 직접적으로 일자리 질의 개선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지정토론에는 김동배 인천대 교수, 이의현 한국금속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 정문주 한국노총 정책본부장이 토론자로 참석해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