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소재부품 수출 10% 감소…전자부품·화학 생산도 부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액은 8% 급감…대일 의존도 소폭 하락
日 백색국가서 한국 제외 일주일 앞…"현장 와닿는 지원 필요" 정부와 산업계가 총력 육성에 나선 소재·부품의 1∼5월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이상 줄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전통적 주력 산업인 섬유, 전자부품이나 일본이 수출규제 타깃으로 삼고 있는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이 속한 화학물질 제품은 수출과 생산 모두 부진했다.
다만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액은 전체 수입 감소액보다 큰 폭으로 줄면서 대일의존도 또한 다소 낮아졌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 따르면 1∼5월 한국 소재부품 누계 수출액은 1천145억2천800만달러(약 138조4천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3%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부품이 -22.1%로 가장 큰 수출 감소세를 보였고 금속가공제품 -17.5%,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9.7%, 섬유제품 -2.1%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반면, 일반기계부품(6.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4.7%), 정밀기기부품(3.7%), 수송기계부품(2.2%) 등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나며 선방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331억7천200만달러, 미국 128억8천100만달러로 두 나라가 전체 수출액에서 약 30%를 차지했다.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 수요가 줄어들면서 1위 거래처인 대중국 수출이 18.8% 급감한 것이 전체 수출액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대미 수출은 2.8% 늘었다.
베트남은 9.1% 늘어난 113억1천500만달러로 수출국 3위에 올랐다.
대일본 수출은 전년보다 6.3% 감소한 54억9천900만달러로 집계됐다.
올해 1∼5월 소재부품 누계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줄어든 723억7천600만달러(약 87조5천억원)였다.
금속가공제품(-16.4%), 정밀기기부품(-8.0%), 섬유제품(-7.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5.6%), 일반기계부품(-5.2%) 등은 수입이 감소했고, 전자부품(3.4%),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2.7%), 비금속광물제품(2.3%) 수입은 늘었다.
이중 일본이 지난달 1일 수출규제를 단행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가 속하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은 이미 올해 들어 수입이 줄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입액은 중국이 231억40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이 111억4천만달러로 뒤를 이었다.
올해 들어서 대일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 하락률인 -1.4%를 훨씬 웃도는 8.4%가 줄었다.
이에 따라 일본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6.6%에서 15.4%로 감소했다.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높은 해외의존도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났지만, 전체 무역수지는 421억5천200만달러 흑자를 냈다.
교역 규모가 큰 미국(46억6천800만달러), 중국(100억6천800만달러)과의 무역에서 모두 흑자를 봤기 때문이다.
다만 일본과의 무역수지는 56억4천1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교역국 중 가장 큰 적자 규모이며 무역적자국 2위인 대만(-18억600만달러)과도 상당한 차이가 난다.
1∼5월 중 소재부품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 감소했다.
정밀기기부품(-11.1%), 섬유제품(-8.2%), 전자부품(-5.9%),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3.1%), 일반기계부품(-2.1%) 등의 생산이 전년보다 줄었다.
비금속광물제품은 7.1%, 수송기계부품은 5.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은 2.4% 늘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매달 소재·부품 산업의 생산, 출하, 재고 변동사항을 조사한다.
이 자료는 소재·부품산업의 경기변동 실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소재·부품산업 육성 정책을 짜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 대상은 전자부품, 정밀기기부품, 일반기계부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섬유제품 등 11개 업종의 2천100개 표본 사업체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5일 예산, 세제, 금융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해 일본 조치에 따른 단기적 어려움을 풀고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소재·부품·장비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핵심 기술은 국산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는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업계는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면서도 일본의 한국 백색국가 제외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현장에서 당장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 전자부품업계 관계자는 "국산 기술을 개발해 검증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국내 소재부품업계가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더 큰 어려움이 처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지원이 밑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日 백색국가서 한국 제외 일주일 앞…"현장 와닿는 지원 필요" 정부와 산업계가 총력 육성에 나선 소재·부품의 1∼5월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이상 줄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전통적 주력 산업인 섬유, 전자부품이나 일본이 수출규제 타깃으로 삼고 있는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이 속한 화학물질 제품은 수출과 생산 모두 부진했다.
다만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액은 전체 수입 감소액보다 큰 폭으로 줄면서 대일의존도 또한 다소 낮아졌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 따르면 1∼5월 한국 소재부품 누계 수출액은 1천145억2천800만달러(약 138조4천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3%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부품이 -22.1%로 가장 큰 수출 감소세를 보였고 금속가공제품 -17.5%,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9.7%, 섬유제품 -2.1%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반면, 일반기계부품(6.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4.7%), 정밀기기부품(3.7%), 수송기계부품(2.2%) 등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나며 선방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331억7천200만달러, 미국 128억8천100만달러로 두 나라가 전체 수출액에서 약 30%를 차지했다.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 수요가 줄어들면서 1위 거래처인 대중국 수출이 18.8% 급감한 것이 전체 수출액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대미 수출은 2.8% 늘었다.
베트남은 9.1% 늘어난 113억1천500만달러로 수출국 3위에 올랐다.
대일본 수출은 전년보다 6.3% 감소한 54억9천900만달러로 집계됐다.
올해 1∼5월 소재부품 누계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줄어든 723억7천600만달러(약 87조5천억원)였다.
금속가공제품(-16.4%), 정밀기기부품(-8.0%), 섬유제품(-7.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5.6%), 일반기계부품(-5.2%) 등은 수입이 감소했고, 전자부품(3.4%),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2.7%), 비금속광물제품(2.3%) 수입은 늘었다.
이중 일본이 지난달 1일 수출규제를 단행한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가 속하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은 이미 올해 들어 수입이 줄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입액은 중국이 231억400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이 111억4천만달러로 뒤를 이었다.
올해 들어서 대일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 하락률인 -1.4%를 훨씬 웃도는 8.4%가 줄었다.
이에 따라 일본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6.6%에서 15.4%로 감소했다.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높은 해외의존도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났지만, 전체 무역수지는 421억5천200만달러 흑자를 냈다.
교역 규모가 큰 미국(46억6천800만달러), 중국(100억6천800만달러)과의 무역에서 모두 흑자를 봤기 때문이다.
다만 일본과의 무역수지는 56억4천1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주요 교역국 중 가장 큰 적자 규모이며 무역적자국 2위인 대만(-18억600만달러)과도 상당한 차이가 난다.
1∼5월 중 소재부품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 감소했다.
정밀기기부품(-11.1%), 섬유제품(-8.2%), 전자부품(-5.9%),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3.1%), 일반기계부품(-2.1%) 등의 생산이 전년보다 줄었다.
비금속광물제품은 7.1%, 수송기계부품은 5.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은 2.4% 늘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는 매달 소재·부품 산업의 생산, 출하, 재고 변동사항을 조사한다.
이 자료는 소재·부품산업의 경기변동 실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소재·부품산업 육성 정책을 짜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 대상은 전자부품, 정밀기기부품, 일반기계부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섬유제품 등 11개 업종의 2천100개 표본 사업체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5일 예산, 세제, 금융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해 일본 조치에 따른 단기적 어려움을 풀고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소재·부품·장비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핵심 기술은 국산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지난 20일 국무회의에서는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업계는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면서도 일본의 한국 백색국가 제외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현장에서 당장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 전자부품업계 관계자는 "국산 기술을 개발해 검증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국내 소재부품업계가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더 큰 어려움이 처하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지원이 밑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