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자원순환을 위한 문화조성을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 및 분리배출 모니터링, 자원순환 문화사업 및 제품 홍보, 지역주민 대상 교육 활성화 등에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경기연구원이 도민 설문조사 등을 실시해 '경기도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 추진방안' 보고서를 발간한 데 따른 것이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5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자원순환 문화조성 사업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해 자
원순환 문화조성 사업 현황과 여건을 분석하고 추진체계, 지원제도 등 정책 방향을 제안한 자원순환 문화조성 사업 추진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설문 조사 결과 도민의 94.1%가 자원순환을 위한 문화조성 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주요 추진사업으로는 폐기물처리시설 및 분리배출 모니터링(31.8%), 자원순환문화 사업 및 제품 홍보(2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민들은 지역주민 대상 자원순환 교육 활성화(20.5%) 필요성도 제기했다.


반면, 도민 62.2%는 자원순화 관련 정보제공이 부족하다고 답변한 가운데, 쓰레기 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79.7%에 달했다. 필요한 관련 정보로는 재활용품 등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48.4%), 지자체 내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19.5%), 빈 용기 무인수거함 위치 등 생활정보(12.5%) 등을 꼽았다.

2018년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 8(자원순환사회의 발전을 위한 문화조성)사회전반에 자원순환문화가 널리 보급·정착되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원순환은 주민의 생활양식 및 문화가 중요한 만큼 주민참여 활동과 자원순환마을 등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을 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 마련을 전제로 한다. 때문에 정부의 자원순환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친환경 소비 확산을 위한 자원순환 실천운동 주도 등 시민사회 역할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도는 '경기도 자원순환기본 조례', '경기도 업사이클 플라자 설치 및 운영조례', '경기도 1회용품 사용저감 지원조례' 등을 제정해 다양한 교육과 홍보사업 및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사업추진체계 및 지원제도 정비와 활성화가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민 61.1%는 자원순환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가운데, 56.8%가 자원순환문화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가 있는 만큼 아파트 단지 및 동 주민센터, 경기도 업사이클 플라자 등을 중심으로 쓰레기 재활용·재사용 방법 교육과 자원순환 관련 수업, DIY 수업 등 다양한 주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 초기부터 조성사업의 분류와 예산의 용도를 명확히 하고, 예산의 범위에서 단위사업별 지원 정도를 설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원순환 관련 다양한 사업을 연계해 도의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을 구상하고 학교, 지역, 기업, 종교 등 4개 활동분야로 구분해 특성화된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기도 자원순환문화 조성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확보가 특히 중요하며, 조성사업에 사용 가능한 폐기물 처분부담금의 활용 등 자원순환에 특화된 제도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