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해외에 데이터연구소 짓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한 하나금융융합기술원장
"AI·빅데이터에 사활 걸어야"
데이터 4개월 집중교육 체계 마련
삼성전자표 인재육성 DNA 전파
"AI·빅데이터에 사활 걸어야"
데이터 4개월 집중교육 체계 마련
삼성전자표 인재육성 DNA 전파
하나금융그룹이 해외 데이터연구소 건립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전문 인력을 끌어모아 관련 사업을 키우기 위해서다.
김정한 하나금융융합기술원장(부사장·사진)은 25일 기자와 만나 “AI와 빅데이터는 금융권의 부수적인 사업이 아니라 사활을 걸어야 할 분야”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장은 하나금융 최고데이터책임자(CDO)를 맡고 있다. 그는 “2~3년 뒤에도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지 못한 금융사는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하나금융은 2021년께 해외에 데이터연구소를 지어 경쟁력을 키울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은 최근 테이터 분야에서 ‘칼’을 갈고 있다는 게 김 원장의 설명이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디지털 시대에 대비하려면 변화가 필요하다’며 김 원장을 2017년 영입했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의 뿌리인 ‘DT(디지털전환)랩’도 이때 신설됐다. 김 원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필립스반도체 출신으로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소프트웨어연구소장, SK그룹 전략기술기획역량개발 전문위원 등을 지낸 이 분야 전문가다.
기술원은 AI와 빅데이터뿐 아니라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신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금융분야 사업 발굴을 추진 중이다. 석·박사급 기술 인력 4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김 원장은 “박사급이 15명에 달하는 등 여느 금융사보다 투자 규모가 크다”고 말했다.
기술원은 올해 말 대출자의 소득변화까지 예측하는 신용평가모형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원장은 “내년에는 신기술을 활용해 여신·수신 서비스 전반을 고도화시킬 방침”이라며 “내년 말엔 디지털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이터를 얼마나 촘촘히 분석해서 활용하고, 사업에 녹이느냐가 승부를 좌우할 거라는 판단이다.
김 원장은 ‘데이터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며 인재 개발 및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6월 기술원 주도로 ‘융합형 데이터 전문가(DxP) 과정’을 신설한 것도 그 일환이다. DxP 과정은 서울대 공대의 정보기술(IT) 기술 공학자가 은행원과 1 대 1로 4개월간 집중 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금융사 직원들에게 디지털 역량을 수혈해 융합해보려는 시도다.
김 원장은 “삼성전자가 일본 샌디스크를 누르고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분야 1위를 한 것은 인재 교육 덕분”이라며 “인문계 전공자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같은 투자가 4~5년간 꾸준히 이어지면 그룹 전체가 데이터 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과 기술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 고급 기술인력도 자연스럽게 금융사에 모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김정한 하나금융융합기술원장(부사장·사진)은 25일 기자와 만나 “AI와 빅데이터는 금융권의 부수적인 사업이 아니라 사활을 걸어야 할 분야”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원장은 하나금융 최고데이터책임자(CDO)를 맡고 있다. 그는 “2~3년 뒤에도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지 못한 금융사는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하나금융은 2021년께 해외에 데이터연구소를 지어 경쟁력을 키울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은 최근 테이터 분야에서 ‘칼’을 갈고 있다는 게 김 원장의 설명이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디지털 시대에 대비하려면 변화가 필요하다’며 김 원장을 2017년 영입했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의 뿌리인 ‘DT(디지털전환)랩’도 이때 신설됐다. 김 원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필립스반도체 출신으로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소프트웨어연구소장, SK그룹 전략기술기획역량개발 전문위원 등을 지낸 이 분야 전문가다.
기술원은 AI와 빅데이터뿐 아니라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신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금융분야 사업 발굴을 추진 중이다. 석·박사급 기술 인력 4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김 원장은 “박사급이 15명에 달하는 등 여느 금융사보다 투자 규모가 크다”고 말했다.
기술원은 올해 말 대출자의 소득변화까지 예측하는 신용평가모형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원장은 “내년에는 신기술을 활용해 여신·수신 서비스 전반을 고도화시킬 방침”이라며 “내년 말엔 디지털 사업이 본격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이터를 얼마나 촘촘히 분석해서 활용하고, 사업에 녹이느냐가 승부를 좌우할 거라는 판단이다.
김 원장은 ‘데이터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며 인재 개발 및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6월 기술원 주도로 ‘융합형 데이터 전문가(DxP) 과정’을 신설한 것도 그 일환이다. DxP 과정은 서울대 공대의 정보기술(IT) 기술 공학자가 은행원과 1 대 1로 4개월간 집중 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기존 금융사 직원들에게 디지털 역량을 수혈해 융합해보려는 시도다.
김 원장은 “삼성전자가 일본 샌디스크를 누르고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분야 1위를 한 것은 인재 교육 덕분”이라며 “인문계 전공자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같은 투자가 4~5년간 꾸준히 이어지면 그룹 전체가 데이터 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과 기술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 고급 기술인력도 자연스럽게 금융사에 모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