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소미아 공백 노린 北…전문가 "사거리 380㎞ 남한전역 타격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4일 北 초대형 방사포 발사
합참, 탄도미사일로 추정했지만
자체 개량한 新무기인 듯
성주 사드기지까지 사정권
다량 발사돼 방어 까다로워
합참, 탄도미사일로 추정했지만
자체 개량한 新무기인 듯
성주 사드기지까지 사정권
다량 발사돼 방어 까다로워
북한이 지난 24일 동해상으로 쏜 발사체 두 발을 ‘초대형 방사포’라고 지칭하고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방과학기술자들이 세계 최강의 초대형 방사포를 연구개발해내는 기적을 창조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는 기존 방사포를 개량해 속도와 사거리를 탄도 미사일급으로 높인 신형 무기다. 군사 분계선은 물론 내륙 기지에서도 남한 전역을 기습 타격할 수 있는 위협적인 공격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방사포 앞에 ‘초대형’ 수식어 첫 사용
북한은 24일 새벽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체 두 발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발사체의 최고 고도는 97㎞, 비행거리는 380여㎞, 최고 속도는 마하 6.5 이상으로 탐지됐다. 합참은 탐지 직후 이 발사체를 탄도 미사일로 추정했지만, 북한이 2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개량형 방사포임이 확실시된다. 합참이 탄도 미사일로 오판할 정도로 속도와 사거리가 늘어난 게 특징이다. 통상 방사포의 속도는 마하 4.5를 넘지 않는다.
북한 매체에 ‘초대형 방사포’라는 무기 이름이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상에 없는 또 하나의 주체 병기’라는 수식어를 붙였을 정도로 자체 성능 개량이 이뤄진 신무기로 분석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발사 현장에 참석해 “젊은 국방과학자들이 한 번 본 적도 없는 무기 체계를 순전히 자기 머리로 착상하고 설계해 단번에 성공시켰는데 총명하다. 큰일을 해냈다”고 했다. 또 “적대 세력들의 가증되는 군사적 위협과 압박공세를 단호히 제압분쇄할 우리 식의 전략전술무기 개발을 계속 힘있게 다그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수십 발 중 한 발만 놓쳐도 막대한 피해
군사 전문가들은 이번에 북한이 공개한 신형 방사포가 지난달 31일과 이달 2일 발사한 ‘대구경 조종방사포’와는 다른 탄종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대구경 조종방사포 발사 당시 공개한 사진에서 이동식발사대(TEL)의 발사관은 6개였지만 이번에는 4개로 확인됐다. 폭발 위력을 키우기 위해 구경을 기존 개량형 방사포(400㎜ 추정)보다 더 넓혔을 가능성이 높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처음 보는 형태의 방사포로, 합참 발표대로라면 사거리가 거의 단거리 미사일 수준”이라며 “김정은이 굳이 핵을 사용하지 않고도 평택 주한미군 기지, 성주 사드 기지, 청주 공군 기지 등 남한 지역 어디든지 초토화할 수 있다는 위협 신호를 우리에게 주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 목표를 향해 다량 발사되는 방사포는 단거리 미사일보다 방어가 까다롭다. 방사포 수십 발 중 요격을 피한 몇 발이 인구 밀집 지역에 떨어질 경우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보게 될 수밖에 없다.
트럼프와의 약속 깬 김정은
김정은이 미국과의 약속을 어기고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종료(지난 20일)된 후에도 무력시위를 감행한 것과 관련, 외교가 일각에선 북한이 미·북 비핵화 실무협상을 조속히 재개하는 대신 실익을 저울질하며 다시 관망세로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 김정은이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하며 “(김정은이) 한·미 연합훈련을 종료하면 (미사일) 시험발사도 끝내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한·미·일 안보 공조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김정은이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감을 계속 고조시키며 협상 주도권을 쥐려는 전략일 수 있다”고 했다. 지난 22일 우리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파기한 이후 약화 가능성이 제기된 대북(對北) 군사탐지력을 시험해보기 위한 기습 실험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북한이 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는 기존 방사포를 개량해 속도와 사거리를 탄도 미사일급으로 높인 신형 무기다. 군사 분계선은 물론 내륙 기지에서도 남한 전역을 기습 타격할 수 있는 위협적인 공격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방사포 앞에 ‘초대형’ 수식어 첫 사용
북한은 24일 새벽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체 두 발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발사체의 최고 고도는 97㎞, 비행거리는 380여㎞, 최고 속도는 마하 6.5 이상으로 탐지됐다. 합참은 탐지 직후 이 발사체를 탄도 미사일로 추정했지만, 북한이 2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개량형 방사포임이 확실시된다. 합참이 탄도 미사일로 오판할 정도로 속도와 사거리가 늘어난 게 특징이다. 통상 방사포의 속도는 마하 4.5를 넘지 않는다.
북한 매체에 ‘초대형 방사포’라는 무기 이름이 등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상에 없는 또 하나의 주체 병기’라는 수식어를 붙였을 정도로 자체 성능 개량이 이뤄진 신무기로 분석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발사 현장에 참석해 “젊은 국방과학자들이 한 번 본 적도 없는 무기 체계를 순전히 자기 머리로 착상하고 설계해 단번에 성공시켰는데 총명하다. 큰일을 해냈다”고 했다. 또 “적대 세력들의 가증되는 군사적 위협과 압박공세를 단호히 제압분쇄할 우리 식의 전략전술무기 개발을 계속 힘있게 다그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수십 발 중 한 발만 놓쳐도 막대한 피해
군사 전문가들은 이번에 북한이 공개한 신형 방사포가 지난달 31일과 이달 2일 발사한 ‘대구경 조종방사포’와는 다른 탄종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대구경 조종방사포 발사 당시 공개한 사진에서 이동식발사대(TEL)의 발사관은 6개였지만 이번에는 4개로 확인됐다. 폭발 위력을 키우기 위해 구경을 기존 개량형 방사포(400㎜ 추정)보다 더 넓혔을 가능성이 높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처음 보는 형태의 방사포로, 합참 발표대로라면 사거리가 거의 단거리 미사일 수준”이라며 “김정은이 굳이 핵을 사용하지 않고도 평택 주한미군 기지, 성주 사드 기지, 청주 공군 기지 등 남한 지역 어디든지 초토화할 수 있다는 위협 신호를 우리에게 주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 목표를 향해 다량 발사되는 방사포는 단거리 미사일보다 방어가 까다롭다. 방사포 수십 발 중 요격을 피한 몇 발이 인구 밀집 지역에 떨어질 경우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보게 될 수밖에 없다.
트럼프와의 약속 깬 김정은
김정은이 미국과의 약속을 어기고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종료(지난 20일)된 후에도 무력시위를 감행한 것과 관련, 외교가 일각에선 북한이 미·북 비핵화 실무협상을 조속히 재개하는 대신 실익을 저울질하며 다시 관망세로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 김정은이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하며 “(김정은이) 한·미 연합훈련을 종료하면 (미사일) 시험발사도 끝내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한·미·일 안보 공조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김정은이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감을 계속 고조시키며 협상 주도권을 쥐려는 전략일 수 있다”고 했다. 지난 22일 우리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파기한 이후 약화 가능성이 제기된 대북(對北) 군사탐지력을 시험해보기 위한 기습 실험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