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추가 개별규제는 '아직'…산업계 '불확실성' 불안 고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반도체 "수급·재고 운영에 어려움 예상"…배터리 "긴장"
기계·자동차업계 '비상 체제'…"타격 크지 않을 것" 전망도
일본이 28일 예정대로 백색국가(수출절차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한 가운데 국내 산업계에선 구체적인 추가 규제 품목을 내놓을 가능성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미 영향을 받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도 또다시 추가 보복의 타깃이 될 가능성에 긴장을 늦추지 않으면서 기존의 수입 다변화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고, 추가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는 정유, 화학, 기계, 자동차 등 업계도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묵묵히 다변화 지속…"불확실성 커져"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게 나와봐야 알 수 있다"면서 "일본이 어떻게 나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백색국가 제외로 수출 허가가 까다로워진 품목의 경우 앞선 3개 품목과 달리 대체 가능한 소재와 장비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이지만, 개별 품목에 대한 추가 규제가 있을 땐 상황이 달라진다.
하지만 어떤 품목이 추가 규제 대상이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반도체 업계는 이미 진행해온 거래처 다변화 작업을 지속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뭐라도 발표해야 추가 대응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전반적인 수급이나 재고 운영에 대한 어려움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하며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도 처음 백색국가 제외를 발표했을 당시와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백색국가 제외와 관련 예상 품목들을 사전 분석 및 점검하고 규제를 적용받는 품목들의 재고 확보와 거래처 다변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는 각기 대체품을 찾기 위한 국내외 소재 테스트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다만 테스트 성과에 대해선 "좀 더 시간이 지나야 윤곽이 나올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 배터리업계 '사정권'…정유화학 업계 "영향력 미미할 듯"
3개 품목 규제 당시와 달리 이날로 '사정권'에 든 배터리 업계는 추가 규제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긴장감을 높이고 있는 모습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공급 업체가 이미 다변화돼 있어 영향력이 미미할 것 같다"면서 "배터리 관련 품목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는 제2의 반도체라 불리며 한국이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수출 규제 직후 배터리 업계는 4대 소재의 일본 의존도는 높지 않지만, 파우치 필름 등 일부 소재들의 일본 업체 점유율이 압도적이어서 우려가 커진 바 있다. 또 다른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긴장은 하고 있지만 배터리 관련 품목이 규제 대상에 해당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영향은 까봐야 알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 밖에도 추가 규제 품목이 명확하게 나와봐야 영향을 알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석유화학 업계는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아무도 모르니 지켜보고 있다"면서 "다만 특수정밀화학 쪽에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 업체의 점유율이 높은 항목들은 일반 석유화학 제품과 달리 바이오 등 제품에 사용되는 정밀화학 제품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 기계·자동차업계 '비상 체제'…"타격 크지 않을 것" 전망도
일본이 전략물자로 지정한 제품들이 많은 공작기계 관련 업계는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강행에 따라 기존의 비상 체제를 유지하면서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계 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국내 공작기계 시장 점유율은 25% 수준으로 특히 고정밀 가공 부문에서 일본 의존도가 높다.
일본의 대표적 기계업체인 화낙(FANUC)의 공작기계 수치제어반(NC)는 국내 점유율이 90%에 이른다.
다만, 일본 업체들은 대부분 한국에 현지법인을 통해 영업하고 있고 특별일반포괄허가 대상인 자율준수기업인 경우가 많아 업계에서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나오고 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고객의 요구로 화낙의 수치제어반을 탑재한 공작기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화낙 한국법인에서는 부품 수급에 문제가 없을 거라고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자동차 분야는 완성차업체는 일본 부품업체 의존도가 극히 낮지만, 국내 부품 협력업체들이 일본에서 부품·소재를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한 피해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국산화나 공급선 다변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 강성 노동조합인 현대차 노조가 전날 8년 만에 무분규로 임단협에 잠정 합의한 것도 일본발 악재의 영향이 컸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하부영 지부장은 발표한 성명서에서 "현대차 노조는 특히 최근 벌어진 일본의 경제 도발에서 문재인 정부의 지소미아 폐기 결정 대응,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시행에 따라 한일 경제전쟁이 28일 이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시점도 잠정 합의에 이르게 한 요소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계·자동차업계 '비상 체제'…"타격 크지 않을 것" 전망도
일본이 28일 예정대로 백색국가(수출절차 우대국)에서 한국을 제외한 가운데 국내 산업계에선 구체적인 추가 규제 품목을 내놓을 가능성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미 영향을 받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계도 또다시 추가 보복의 타깃이 될 가능성에 긴장을 늦추지 않으면서 기존의 수입 다변화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고, 추가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는 정유, 화학, 기계, 자동차 등 업계도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묵묵히 다변화 지속…"불확실성 커져"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게 나와봐야 알 수 있다"면서 "일본이 어떻게 나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백색국가 제외로 수출 허가가 까다로워진 품목의 경우 앞선 3개 품목과 달리 대체 가능한 소재와 장비가 대부분인 것으로 보이지만, 개별 품목에 대한 추가 규제가 있을 땐 상황이 달라진다.
하지만 어떤 품목이 추가 규제 대상이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반도체 업계는 이미 진행해온 거래처 다변화 작업을 지속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뭐라도 발표해야 추가 대응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전반적인 수급이나 재고 운영에 대한 어려움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하며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도 처음 백색국가 제외를 발표했을 당시와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백색국가 제외와 관련 예상 품목들을 사전 분석 및 점검하고 규제를 적용받는 품목들의 재고 확보와 거래처 다변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는 각기 대체품을 찾기 위한 국내외 소재 테스트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다만 테스트 성과에 대해선 "좀 더 시간이 지나야 윤곽이 나올 것 같다"고 입을 모았다.
◇ 배터리업계 '사정권'…정유화학 업계 "영향력 미미할 듯"
3개 품목 규제 당시와 달리 이날로 '사정권'에 든 배터리 업계는 추가 규제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긴장감을 높이고 있는 모습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공급 업체가 이미 다변화돼 있어 영향력이 미미할 것 같다"면서 "배터리 관련 품목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는 이유는 제2의 반도체라 불리며 한국이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수출 규제 직후 배터리 업계는 4대 소재의 일본 의존도는 높지 않지만, 파우치 필름 등 일부 소재들의 일본 업체 점유율이 압도적이어서 우려가 커진 바 있다. 또 다른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긴장은 하고 있지만 배터리 관련 품목이 규제 대상에 해당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영향은 까봐야 알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 밖에도 추가 규제 품목이 명확하게 나와봐야 영향을 알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석유화학 업계는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 아무도 모르니 지켜보고 있다"면서 "다만 특수정밀화학 쪽에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본 업체의 점유율이 높은 항목들은 일반 석유화학 제품과 달리 바이오 등 제품에 사용되는 정밀화학 제품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 기계·자동차업계 '비상 체제'…"타격 크지 않을 것" 전망도
일본이 전략물자로 지정한 제품들이 많은 공작기계 관련 업계는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강행에 따라 기존의 비상 체제를 유지하면서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계 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국내 공작기계 시장 점유율은 25% 수준으로 특히 고정밀 가공 부문에서 일본 의존도가 높다.
일본의 대표적 기계업체인 화낙(FANUC)의 공작기계 수치제어반(NC)는 국내 점유율이 90%에 이른다.
다만, 일본 업체들은 대부분 한국에 현지법인을 통해 영업하고 있고 특별일반포괄허가 대상인 자율준수기업인 경우가 많아 업계에서는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나오고 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고객의 요구로 화낙의 수치제어반을 탑재한 공작기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데 화낙 한국법인에서는 부품 수급에 문제가 없을 거라고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자동차 분야는 완성차업체는 일본 부품업체 의존도가 극히 낮지만, 국내 부품 협력업체들이 일본에서 부품·소재를 수입해 제품을 생산하는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한 피해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국산화나 공급선 다변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 강성 노동조합인 현대차 노조가 전날 8년 만에 무분규로 임단협에 잠정 합의한 것도 일본발 악재의 영향이 컸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하부영 지부장은 발표한 성명서에서 "현대차 노조는 특히 최근 벌어진 일본의 경제 도발에서 문재인 정부의 지소미아 폐기 결정 대응,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시행에 따라 한일 경제전쟁이 28일 이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는 시점도 잠정 합의에 이르게 한 요소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