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보다 굉장히 양호한 수준"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8/AA.20394935.1.jpg)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관리재정수지 비율 3% 이내’를 재정준칙으로 권고하고 있다. 기재부도 이 기준을 암묵적으로 지켜왔다. 이런 불문율을 공개적으로 깨면서까지 ‘초(超)슈퍼 예산’을 짠 건 그만큼 경제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게 홍 부총리의 설명이다. 그는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반도체 업황 및 수출 부진이 내년 세수에도 반영되면서 법인세가 급감하는 등 세입 여건이 상당히 어렵다”며 “하지만 경제를 성장 경로로 복귀시키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한다”고 했다.
다만 홍 부총리는 장기적인 재정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내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39.8%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면 굉장히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분간 적자성 채무가 늘겠지만 아직 전체 국가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며 “부채의 질도 양호하다”고 덧붙였다. 적자성 채무는 융자금과 외화자산 등 채무에 대응하는 자산이 있어 별도의 재원이 필요 없는 금융성 채무와 달리 국민 세금 등으로 갚아야 하는 채무를 의미한다.
“정부 재정에 여력이 있는데도 기재부가 긴축재정을 고집한다”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등의 주장에 대해서는 “월등히 확장적 기조”라고 반박했다. 홍 부총리는 “내년 국세 수입이 0.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재정지출 증가율은 9.3%에 달한다”며 “어떤 지표로 보더라도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월등히 확장적”이라고 역설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