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기업의 가치와 역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영표 < 더불어민주당 의원 youngvote@hanmail.net >
기업 경영의 목표는 무엇인가? 지난 수십 년간 밀턴 프리드먼이 주장하고 기업과 시장이 주문처럼 떠받들어 온 것이 ‘주주이익 극대화’였다. 이런 인식이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민주주의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바뀌고 있다. JP모간의 제이미 다이먼,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애플의 팀 쿡, GM의 메리 바라 등 미국 200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하는 모임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은 기업이 주주이익만을 최우선으로 추구해서는 안 된다고 최근 선언했다. 주주이익과 동등하게 소비자, 직원, 협력업체, 사회 등과의 이해관계를 살펴야 한다고 했다.
기업은 전통적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성장을 통해 지구촌의 빈곤을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소득격차 확대, 4차 산업혁명 등 시장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기업은 더 많은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세계적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CEO 래리 핑크는 주주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정부가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한 민감한 사회·정치적 문제와 관련한 기업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특히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은퇴 준비가 되지 않은 근로자가 늘고 있는 것을 지적하며 기업이 근로자 은퇴를 돕는 데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로써 기업은 노동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지역사회도 경제적으로 안정될 것으로 진단했다.
경제적 불평등 논란도 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에 심각한 도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18~29세 밀레니얼 세대 중 51%가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밀레니얼 사회주의’ 현상이다. 경제 불평등으로 미래세대가 정부 정책을 부정하고 급기야 민주주의를 불신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유럽에서 포퓰리즘이 유행처럼 번지고 극우정당들이 각종 선거에서 10~30%까지 득표하는 것도 같은 원인이다. 기존 정치체제가 도전받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정치·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파리경제대학이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을 대상으로 소득상위 1%와 10%의 소득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2012년 말 한국은 각각 12.23%, 44.87%를 기록했다. 상위 10% 기준, 한국보다 부의 편중이 심한 국가는 미국(48.16%)밖에 없다.
미·중 무역분쟁을 비롯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기업의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도 소득분배,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기업 가치와 역할에 대한 고민과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기업은 전통적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성장을 통해 지구촌의 빈곤을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소득격차 확대, 4차 산업혁명 등 시장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기업은 더 많은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세계적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CEO 래리 핑크는 주주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정부가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한 민감한 사회·정치적 문제와 관련한 기업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특히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은퇴 준비가 되지 않은 근로자가 늘고 있는 것을 지적하며 기업이 근로자 은퇴를 돕는 데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로써 기업은 노동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지역사회도 경제적으로 안정될 것으로 진단했다.
경제적 불평등 논란도 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에 심각한 도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 갤럽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18~29세 밀레니얼 세대 중 51%가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밀레니얼 사회주의’ 현상이다. 경제 불평등으로 미래세대가 정부 정책을 부정하고 급기야 민주주의를 불신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유럽에서 포퓰리즘이 유행처럼 번지고 극우정당들이 각종 선거에서 10~30%까지 득표하는 것도 같은 원인이다. 기존 정치체제가 도전받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정치·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파리경제대학이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을 대상으로 소득상위 1%와 10%의 소득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2012년 말 한국은 각각 12.23%, 44.87%를 기록했다. 상위 10% 기준, 한국보다 부의 편중이 심한 국가는 미국(48.16%)밖에 없다.
미·중 무역분쟁을 비롯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기업의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도 소득분배,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기업 가치와 역할에 대한 고민과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