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사는 궐(闕)자를 새긴 궐패를 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멀리서 임금을 위해 행하는 의례인 망궐례(望闕禮)를 하고, 지방을 방문하는 관원을 접대한 공간이다. 나주 금성관은 1470년대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전하지만 정확한 창건 연대는 파악되지 않았다.
전체적인 규모와 골격은 1671년 중건 당시 모습을 유지한 것으로 추정되며 목조 가구와 공포(지붕 하중을 받치기 위한 구조물)에서는 1775년과 1885년 중수했을 때 기법이 확인됐다. 기단인 월대(月臺)를 마련한 점과 외관과 내부 천장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인해 일반 객사와 달리 궁궐 정전을 연상시킨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성관 중심 건물인 정청은 조선시대 객사 건물 중 가장 크고, 팔작지붕이 얹혀 있다. 객사 정청에는 보통 맞배지붕을 사용한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