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사진=AP
트럼프 대통령. 사진=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와 미군기지 조기 반환 요구에 잇따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겠다”고 밝히면서 이 말의 속뜻에 새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도 미·중 무역협상과 관련해 백악관 기자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겠다”고 했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겠다(We’ll see what happens)”(이하 “지켜보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국내외 이슈에 대한 질문에 답할 때마다 수시로 입에 올리는 말이다. 가끔 “We are going to see what happens” 등 약간 변형된 말을 쓸 때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말을 쓰는 분야는 국내외 이슈를 망라한다. 북한 핵·미사일, 미·중 무역전쟁, 이란 등 외교분야는 물론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민주당 경선출마, 로버트 뮬러 특검 해임 문제, 제프 세션스 전 법무장관 해임 등 국내 이슈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 말을 수시로 써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켜보겠다”는 말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에 대해선 미 언론과 전문가들도 고개를 갸우뚱한다. 다만 이들은 이 말을 크게 세가지로 해석한다.

첫째 ‘은근한 위협’ 가능성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연설을 분석해온 공화당, 민주당 연설문작성자들을 인용해 “‘지켜보겠다’는 말은 북한 지도자 김정은 같은 예측할 수 없는 적에게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은근한 위협을 보내는 방법일 수 있다”고 전했다. 미·중 무역전쟁 과정에서 이 말을 쓸 때도 마찬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만약 지소미아 종료나 미군기지 반환 문제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의중을 갖고 있다면, 한국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사진=EPA연합뉴스
사진=EPA연합뉴스
둘째, ‘책임 회피’ 차원일 수도 있다. 캐슬린 제이미슨 펜실베이니아대 아넨버그공공정책센터장은 NYT에 “(트럼프 대통령은)전망을 하거나 전망에 대한 책임을 지는 대신에 책임지고 싶어하지 않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다”고 말했다. 이어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쿠바 미사일 위기 때 소련과 협상하면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겠다’고 말하는걸 생각하긴 어렵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화법이 전임자들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셋째, ‘판단 유보’ 혹은 ‘당장은 모르겠다’는 뜻일 수도 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것도 완전히 배제하지 않으면서 아무말도 안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업가 시절 저서 ‘거래의 기술’에서 “너무 꽉 짜여져 있으면 상상력을 갖거나 기업가적일 수 없다”며 “나는 매일 직장에와서 일이 어떻게 전개되가는지 보는걸 더 좋아한다”고 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을 30년 가량 취재해온 데이비드 존스턴 탐사전문기자는 미 공영방송 NPR에 “트럼프 대통령이 ‘지켜보겠다’고 할 때 그가 진짜로 하려고하는건 허를 찌르고 동시에 질문을 피하는 것”이라며 “왜냐면 그가 답을 갖고 있지 않거나, 질문 혹은 다양한 이유를 이해했다고 자신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 대통령 중 특정 문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건 트럼프 대통령뿐 아니다.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명확히 하겠다(Let me be clear)”나 “정말이다(Make no mistake)’라는 말을 자주 썼다. 주로 청중들이 집중하도록 만들고 싶을 때였다. 하지만 반복되는 문구는 자주 들을수록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켜보겠다”는 말이 어떤 효과를 낼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존스턴 기자는 “그 말은 그(트럼프 대통령)에게 힘을 부여하고 상대방을 불안정하게 만든다”며 “상대가 기자든, 다수의 청중이든, 외국 정상이든 말이다”고 했다. 반면 조지W 부시 대통령의 연설문 작성자였던 매트 라티머는 NYT에 “한참 뒤엔 사람들이 ‘정말 그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화법처럼)자유로운 스타일은 일이 잘 풀릴 때만 작동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