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조 토지 보상금이 땅값 변수…전원주택 투자는 신중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추석 이후 토지·전원주택 시장 전망
정부 주택규제후 토지로 눈돌려
7월 전국 땅값 전월比 0.34% 올라
전원주택 수요 '귀농·귀촌' 이동
2000년대 중반 정점 찍고 하락세
정부 주택규제후 토지로 눈돌려
7월 전국 땅값 전월比 0.34% 올라
전원주택 수요 '귀농·귀촌' 이동
2000년대 중반 정점 찍고 하락세
![올 하반기 수도권에 9조282억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리면서 땅값이 상승하고 있다.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426781.1.jpg)
올 하반기 토지보상금 9조282억원
![올 하반기 수도권에 9조282억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리면서 땅값이 상승하고 있다.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432295.1.jpg)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교통 개발 호재도 땅값 상승의 재료로 꼽힌다. 역사 주변으로 역세권 개발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대곡역세권, 서울역 북부역세권, 수서역세권 개발 등이다. 대곡역세권은 경기 고양 대장동 일원 180만㎡에 이르는 곳으로 2023년까지 개발될 예정이다. 사업을 맡은 고양시는 복합환승센터, 주거단지 등을 조성해 대곡역을 교통과 물류 중심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10년째 표류 중인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은 7월 사업자 선정을 마친 뒤 속도를 내고 있다. 신 대표는 “철도 사업은 보상금 자체는 적지만 개통 뒤 역세권 개발이 활발해지는 만큼 역 주변 땅값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남부내륙철도 등 올해 초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은 사업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율 대표는 “단순히 역 주변이 아니라 역세권 개발이 되는 토지와 그렇지 않은 토지를 구분해야 한다”며 “개발계획단계보다 착공 전후에 매입하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9조 토지 보상금이 땅값 변수…전원주택 투자는 신중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432296.1.jpg)
전원주택 투자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외지인이 매입한 경기 양평군 주택은 1540가구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외지인의 토지 매입도 전년 대비 283만㎡ 감소한 109만2000㎡에 그친다. 양평군은 대표적인 전원주택 밀집지역 중 하나다. 우병탁 신한은행 세무팀장은 “전원주택을 매입하면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는 만큼 전원주택 매수세는 살아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원주택 수요 자체가 늘지 않은 점도 침체 요인이다.
전원주택 정보제공업체 OK시골의 김경래 사장은 “전원주택 시장은 2000년대 중반 정점을 찍고 하락세에 접어들었다”며 “전원주택 수요가 정부 지원이 많은 귀농·귀촌으로 이동하면서 시장이 더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