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지국 수 LG유플러스 1위, 기지국 장비는 KT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G기지국 총 8만곳 육박
"커버리지 문제해소 노력"
'수도권 편중' 논란은 여전
"커버리지 문제해소 노력"
'수도권 편중' 논란은 여전
통신3사가 구축한 5G(5세대 이동통신) 기지국이 8만곳, 기지국 송·수신장비는 18만대에 이르는 등 5G 커버리지 문제 해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5G 기지국 수는 LG유플러스, 5G 기지국 송수신장비 수는 KT가 최다로 각각 집계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에서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이같이 공개했다. 5G 기반 인프라 구축에선 기존 업계 2·3위 사업자인 KT와 LG유플러스가 1위 SK텔레콤보다 분발한다는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노 위원장에 따르면 5G 기지국은 △LG유플러스 3만282국 △KT 2만7537국 △SKT 2만1666국 등 모두 7만9485국을 구축했다. 업계 3위 LG유플러스가 3만국 선을 처음 넘었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 초기 화웨이 장비 도입 논란, 장비사 공급 지연 등으로 구축 기지국 수에서 경쟁사에 밀렸으나 최근 수급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기지국 지역 편중 현상은 여전했다. 이통3사 5G 기지국 중 절반 이상인 4만4325국(55.8%)이 수도권에 몰렸다. 전국 대부분 시·도에서 LG유플러스 기지국이 가장 많았고 KT는 서울·충북·전남, SKT는 대구·세종에서 1위였다.
기지국 송수신장비 수에서는 KT가 지난달 29일 기준 6만대를 돌파해 가장 많았다. SKT와 LG유플러스는 6만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3사 기지국 송수신장비가 총 18만여대에 달해 정부와 이통3사가 세운 연내 목표치(23만대)의 80%에 육박했다.
통상 기지국에는 안테나처럼 보이는 송수신장비가 2~3대 설치된다.
이통사간 5G 경쟁과 관련, 노 위원장은 “KT는 이달 초 ‘기지국 송수신장비 6만개’를 ‘기지국 6만개’ 개통으로 표현한 보도자료를 배포해 이용자 혼선을 초래했다”며 “5G 기지국 수 과장 홍보는 이용자 기만행위다. 당국이 5G 기지국 수와 품질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명확한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이용자 이해를 돕기 위해 쉽게 표현하려다가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주의하겠다”고 해명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노웅래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에서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이같이 공개했다. 5G 기반 인프라 구축에선 기존 업계 2·3위 사업자인 KT와 LG유플러스가 1위 SK텔레콤보다 분발한다는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노 위원장에 따르면 5G 기지국은 △LG유플러스 3만282국 △KT 2만7537국 △SKT 2만1666국 등 모두 7만9485국을 구축했다. 업계 3위 LG유플러스가 3만국 선을 처음 넘었다.
LG유플러스는 5G 상용화 초기 화웨이 장비 도입 논란, 장비사 공급 지연 등으로 구축 기지국 수에서 경쟁사에 밀렸으나 최근 수급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기지국 지역 편중 현상은 여전했다. 이통3사 5G 기지국 중 절반 이상인 4만4325국(55.8%)이 수도권에 몰렸다. 전국 대부분 시·도에서 LG유플러스 기지국이 가장 많았고 KT는 서울·충북·전남, SKT는 대구·세종에서 1위였다.
기지국 송수신장비 수에서는 KT가 지난달 29일 기준 6만대를 돌파해 가장 많았다. SKT와 LG유플러스는 6만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3사 기지국 송수신장비가 총 18만여대에 달해 정부와 이통3사가 세운 연내 목표치(23만대)의 80%에 육박했다.
통상 기지국에는 안테나처럼 보이는 송수신장비가 2~3대 설치된다.
이통사간 5G 경쟁과 관련, 노 위원장은 “KT는 이달 초 ‘기지국 송수신장비 6만개’를 ‘기지국 6만개’ 개통으로 표현한 보도자료를 배포해 이용자 혼선을 초래했다”며 “5G 기지국 수 과장 홍보는 이용자 기만행위다. 당국이 5G 기지국 수와 품질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명확한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이용자 이해를 돕기 위해 쉽게 표현하려다가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 주의하겠다”고 해명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