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조선·해운산업 부활 조짐…한국, 해양강국 재도약 기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 '오셔노미 포럼 2019'
'해양수도' 부산의 발전 방안
'해양수도' 부산의 발전 방안
“일본과 중국이 흔들리는 지금이 한국 조선·해운산업이 재도약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면 부산 경제는 물론 국가 경쟁력 전체가 크게 뛰어오를 것입니다.”(신종계 조선해양산업발전협의회 회장)
부산시와 한국경제신문사, 한국경제TV 주최로 5일 부산 서면 롯데호텔에서 열린 ‘오셔노미 포럼 2019’에서 전문가들은 부산이 동북아시아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조선·해운산업 재건을 첫손에 꼽았다. 부산의 탁월한 입지와 우수한 노동력을 활용해 탄탄한 해양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산을 유라시아와 환태평양의 물류·사람·문화의 관문으로 만들자는 복안이다.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부산을 세계 제일의 ‘스마트 해양도시’로 만들자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 조선·해운, 부산에서 부활시켜야”
한국은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해양강국 지위를 잃었다. 해운산업 매출은 2015년 39조원에서 2016년 29조원으로 10조원 줄었다. 세계 조선 경기 침체에 국적 해운사까지 쓰러지면서 조선산업도 구조조정의 늪에 빠졌다. 고부가가치 선박은 장인정신을 앞세운 일본에, 저가 선박은 중국의 ‘물량 공세’에 밀렸다. ‘조선·해양발(發) 경기침체’가 경남권을 덮치면서 부산 경기까지 고꾸라졌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기류가 바뀌고 있다”(신종계 회장)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신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중소 선박 시장은 5년간 두 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라며 “중국은 인건비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됐고, 일본은 인력난으로 제대로 된 배를 건조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 규모 조선사가 많은 부산을 중심으로 조선·해운산업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전문가들은 조선뿐 아니라 한국 해운산업도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진단했다. 적극적인 항만 자동화의 도입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제언이 많았다.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기술연구실장은 “네덜란드 중국 등 항만 선진국처럼 부산항도 디지털·자율운송 기술을 도입한다면 막대한 양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산, 환동해 경제권 중심 될 것”
부산이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허윤수 부산연구원 동북아해양수도 전략연구센터장은 “부산은 한국의 신북방정책과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정책의 접점”이라며 “이미 세계 2위의 환적항만인 부산항에는 절호의 기회”라고 설명했다.
향후 남북한 관계가 개선되면 부산항과 북한의 바닷길부터 열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한반도 통일 비용을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남북 정기항로를 최우선으로 개설해야 한다”며 “부산항을 북한의 남포항 및 나진항과 연결하면 부산 전체가 ‘대륙 항만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청사진을 실현하려면 정부가 4차 산업혁명 관련 규제를 완화해 해양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광열 한국해양진흥공사 본부장은 “세계 최대 해운회사인 머스크는 IBM과 글로벌 물류 블록체인을 준비 중”이라며 “한국도 자동화, 무인화 등을 통한 스마트선박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본부장은 “해외 조선소들은 ‘주문하는 순간 생산이 시작되는 조선소’를 목표로 시스템 엔지니어링과 설계 협력, 시뮬레이션 등 여러 방면에서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며 “조선산업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천석범 SAP코리아 부사장도 “디지털 항만과 전통식 항만의 생산성 격차는 하늘과 땅 차이”라며 “정보기술(IT) 강국이자 해양산업 강국인 한국이야말로 두 장점을 융합해 신기술 도입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성수영/김동윤 기자 syoung@hankyung.com
부산시와 한국경제신문사, 한국경제TV 주최로 5일 부산 서면 롯데호텔에서 열린 ‘오셔노미 포럼 2019’에서 전문가들은 부산이 동북아시아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조선·해운산업 재건을 첫손에 꼽았다. 부산의 탁월한 입지와 우수한 노동력을 활용해 탄탄한 해양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산을 유라시아와 환태평양의 물류·사람·문화의 관문으로 만들자는 복안이다.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부산을 세계 제일의 ‘스마트 해양도시’로 만들자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 조선·해운, 부산에서 부활시켜야”
한국은 한진해운 파산 이후 해양강국 지위를 잃었다. 해운산업 매출은 2015년 39조원에서 2016년 29조원으로 10조원 줄었다. 세계 조선 경기 침체에 국적 해운사까지 쓰러지면서 조선산업도 구조조정의 늪에 빠졌다. 고부가가치 선박은 장인정신을 앞세운 일본에, 저가 선박은 중국의 ‘물량 공세’에 밀렸다. ‘조선·해양발(發) 경기침체’가 경남권을 덮치면서 부산 경기까지 고꾸라졌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기류가 바뀌고 있다”(신종계 회장)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신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중소 선박 시장은 5년간 두 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라며 “중국은 인건비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됐고, 일본은 인력난으로 제대로 된 배를 건조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 규모 조선사가 많은 부산을 중심으로 조선·해운산업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전문가들은 조선뿐 아니라 한국 해운산업도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진단했다. 적극적인 항만 자동화의 도입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제언이 많았다. 최상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기술연구실장은 “네덜란드 중국 등 항만 선진국처럼 부산항도 디지털·자율운송 기술을 도입한다면 막대한 양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산, 환동해 경제권 중심 될 것”
부산이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허윤수 부산연구원 동북아해양수도 전략연구센터장은 “부산은 한국의 신북방정책과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정책의 접점”이라며 “이미 세계 2위의 환적항만인 부산항에는 절호의 기회”라고 설명했다.
향후 남북한 관계가 개선되면 부산항과 북한의 바닷길부터 열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한반도 통일 비용을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남북 정기항로를 최우선으로 개설해야 한다”며 “부산항을 북한의 남포항 및 나진항과 연결하면 부산 전체가 ‘대륙 항만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청사진을 실현하려면 정부가 4차 산업혁명 관련 규제를 완화해 해양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광열 한국해양진흥공사 본부장은 “세계 최대 해운회사인 머스크는 IBM과 글로벌 물류 블록체인을 준비 중”이라며 “한국도 자동화, 무인화 등을 통한 스마트선박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본부장은 “해외 조선소들은 ‘주문하는 순간 생산이 시작되는 조선소’를 목표로 시스템 엔지니어링과 설계 협력, 시뮬레이션 등 여러 방면에서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며 “조선산업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천석범 SAP코리아 부사장도 “디지털 항만과 전통식 항만의 생산성 격차는 하늘과 땅 차이”라며 “정보기술(IT) 강국이자 해양산업 강국인 한국이야말로 두 장점을 융합해 신기술 도입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성수영/김동윤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