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조 전면파업 준비 돌입…'폭풍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GM 노조, 9일부터 11일까지 파업
한국GM, 신차배정 등 계획 이행하고 있지만 보릿고개 예상
노조의 임금인상 등 요구 수용 어려울 것
한국GM, 신차배정 등 계획 이행하고 있지만 보릿고개 예상
노조의 임금인상 등 요구 수용 어려울 것

한국GM 노조는 이날 "모든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사측에 있다"며 파업을 강행한다고 6일 밝혔다. 9일부터 부평공장을 봉쇄하고 11일까지 직원들의 출입을 통제할 예정이다.
노조는 임단협에서 기본급 12만3526원(5.65%)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250% 규모 성과금 지급, 사기진작 격려금 650만원 지급, 지난해 축소했던 복리후생 복구 등을 요구했다. 이어 "사측이 부평 1공장과 창원공장에 생산물량을 확보하지 않았고 부평 2공장은 2022년 이후 폐쇄된다"며 "한국 정부와 여당, GM 본사가 노조의 미래와 생존권을 빼앗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회사가 임금 인상과 신차 생산 물량 확보를 거부하기에 불가피하게 파업에 나섰다는 주장이다.
다만 노조의 주장은 한국GM의 계획과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GM은 현재 부평 1공장에서 생산하는 트랙스를 부평 2공장 생산으로 전환한다. 특히 해외에서 오펠 모카, 뷰익 앙코르라는 이름으로도 판매되는 트랙스는 지난해 23만9800여대가 수출된 효자 차종이다. 말리부 역시 부평 2공장에서 계속 생산된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통산 신차의 구체적인 생산 물량이나 판매 목표 등은 출시 직전에나 공개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2023년 양산 차종에 벌써부터 생산 물량을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노조의 임금 인상과 복리후생 복구 또한 무리한 요구라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한국GM은 지난해 6148억원 적자를 냈고 지난 5년간 적자만 2조7276억원에 달했다. 임금동결과 복리후생 축소, GM본사의 투자가 맞물리며 수익성을 개선이 이뤄지고 있지만, 흑자전환은 내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현 상황에서 임금인상과 복리후생 복구가 이뤄지면 흑자전환 시기는 더욱 미뤄지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GM의 차량 생산 계획을 보면 보릿고개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는 공백기가 있다. 콜로라도·트래버스 등 수입차 확대도 이를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레일 블레이저의 흥행 여부가 관건으로 남지만, 당분간 회사 측이 임금인상 등의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