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파업…환자들 "문자 통보로 쫓겨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조 측 "임금 인상" 요구
개원 18년 만에 첫 파업
개원 18년 만에 첫 파업
지난해 노동조합이 결성된 국립암센터가 임금협상 조정에 실패하면서 2001년 문을 연 이래 처음 파업 사태를 맞았다. 암 환자 치료에 꼭 필요한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인력 유지범위에서 제외되면서 상당수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등 큰 혼란을 빚었다.
국립암센터, 개원 이래 첫 파업
국립암센터 노조는 지난 5일 밤 노사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6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경기 고양 국립암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노조원 500여 명이 참가해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전체 직원 2800여 명 중 노조 조합원은 1000여 명이다. 간호직은 절반 정도가 노조에 가입했다. 병원 측은 전체 노조 조합원 중 절반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날 파업으로 입원 환자 540여 명(전체 병상 560개) 중 350여 명이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 입원 환자는 140명 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병원 측은 내다봤다. 이날 암센터를 찾은 외래 환자는 790여 명으로, 금요일 평균 외래 환자(1200여 명)의 65%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암센터 관계자는 “그나마 환자가 적은 요일이어서 혼란이 덜하다”며 “월요일 평균 외래 환자는 1500여 명으로, 환자가 몰릴 수 있어 혼란이 더 커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암 환자들 “진료 정상화 해달라”
의료기관은 대부분 파업기간에도 필수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환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파업했지만 환자급식 등에 영향을 받았을 뿐 진료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국립암센터는 사정이 다르다. 노조가 다른 병원보다 늦게 결성돼 새로운 필수유지업무 범위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다 보니 암 환자를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범위에서 제외됐다. 파업기간 인력을 모두 유지해야 하는 곳은 중환자실과 응급실뿐이다.
암 환자가 주로 찾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환자 보호자들의 걱정스런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파업철회 요청 글에는 하루 만에 1000명 넘는 사람이 동의했다. 3기 유방암 환자 보호자라고 밝힌 이 청원인은 “6일 새벽 4시40분 파업을 시작한다는 문자와 함께 치료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매일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하는 스케줄이었고 3주에 한 번 맞는 표적치료제도 파업으로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협상안의 간극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올해 6월 협상을 시작한 노사 양측은 11차례 단체교섭과 두 차례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과정을 거쳤다. 협상 초기 6%대 임금인상을 요구했던 노조 측은 “기본급 1.8% 인상에 시간외수당과 위험수당을 별도로 책정하라”는 공익위원 권고를 받아들였다. 이를 모두 반영하면 3.3% 정도 임금이 오른다.
하지만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 지침에 따라 1.8%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은 “파업에 참여한 직원이 진료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대한 만나 설득하고 있다”며 “추석연휴 진료 공백을 고려해서도 다음주 초에는 사태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국립암센터, 개원 이래 첫 파업
국립암센터 노조는 지난 5일 밤 노사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6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경기 고양 국립암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노조원 500여 명이 참가해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전체 직원 2800여 명 중 노조 조합원은 1000여 명이다. 간호직은 절반 정도가 노조에 가입했다. 병원 측은 전체 노조 조합원 중 절반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날 파업으로 입원 환자 540여 명(전체 병상 560개) 중 350여 명이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 입원 환자는 140명 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병원 측은 내다봤다. 이날 암센터를 찾은 외래 환자는 790여 명으로, 금요일 평균 외래 환자(1200여 명)의 65%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암센터 관계자는 “그나마 환자가 적은 요일이어서 혼란이 덜하다”며 “월요일 평균 외래 환자는 1500여 명으로, 환자가 몰릴 수 있어 혼란이 더 커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암 환자들 “진료 정상화 해달라”
의료기관은 대부분 파업기간에도 필수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환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파업했지만 환자급식 등에 영향을 받았을 뿐 진료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국립암센터는 사정이 다르다. 노조가 다른 병원보다 늦게 결성돼 새로운 필수유지업무 범위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다 보니 암 환자를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범위에서 제외됐다. 파업기간 인력을 모두 유지해야 하는 곳은 중환자실과 응급실뿐이다.
암 환자가 주로 찾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환자 보호자들의 걱정스런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파업철회 요청 글에는 하루 만에 1000명 넘는 사람이 동의했다. 3기 유방암 환자 보호자라고 밝힌 이 청원인은 “6일 새벽 4시40분 파업을 시작한다는 문자와 함께 치료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매일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하는 스케줄이었고 3주에 한 번 맞는 표적치료제도 파업으로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협상안의 간극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올해 6월 협상을 시작한 노사 양측은 11차례 단체교섭과 두 차례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과정을 거쳤다. 협상 초기 6%대 임금인상을 요구했던 노조 측은 “기본급 1.8% 인상에 시간외수당과 위험수당을 별도로 책정하라”는 공익위원 권고를 받아들였다. 이를 모두 반영하면 3.3% 정도 임금이 오른다.
하지만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 지침에 따라 1.8%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은 “파업에 참여한 직원이 진료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대한 만나 설득하고 있다”며 “추석연휴 진료 공백을 고려해서도 다음주 초에는 사태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