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 분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5년간 4000억 적자 허덕
전문 자회사 세워 경쟁력 강화
전문 자회사 세워 경쟁력 강화
포스코그룹의 민간발전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가 적자에 시달려온 연료전지 사업을 분할한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추진해온 소재·에너지 등 계열사 사업 재편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료전지 전문 자회사를 설립한다고 8일 발표했다. 연료전지는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 연소 없이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반응으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발전설비다.
포스코에너지가 신설되는 연료전지 사업회사 지분 100%를 보유하는 물적분할 방식이다. 연료전지 사업회사 사명은 한국퓨얼셀로 정했다. 한국퓨얼셀은 연료전지 제조와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유지(O&M) 등 기존 사업을 그대로 수행한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은 최근 5년간(2014~2018년) 총 4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냈다. 연료전지의 핵심인 스택(전기 발생 장치) 결함에 따른 교체비용이 급증한 데다 연료전지 발전소 유지·보수 등 장기서비스계약(LTSA)마저 저가로 수주한 탓이다. 적자가 쌓이면서 지난해엔 연료전지 사업 분리·매각설(說)에 휩싸이기도 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료전지 전문 자회사를 설립한다고 8일 발표했다. 연료전지는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 연소 없이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반응으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발전설비다.
포스코에너지가 신설되는 연료전지 사업회사 지분 100%를 보유하는 물적분할 방식이다. 연료전지 사업회사 사명은 한국퓨얼셀로 정했다. 한국퓨얼셀은 연료전지 제조와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유지(O&M) 등 기존 사업을 그대로 수행한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은 최근 5년간(2014~2018년) 총 4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냈다. 연료전지의 핵심인 스택(전기 발생 장치) 결함에 따른 교체비용이 급증한 데다 연료전지 발전소 유지·보수 등 장기서비스계약(LTSA)마저 저가로 수주한 탓이다. 적자가 쌓이면서 지난해엔 연료전지 사업 분리·매각설(說)에 휩싸이기도 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