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서울서 미분양 100% 아파트 등장한 까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7월 말 서울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54% 급증했다. 집값이 급상승 중인 데다 하반기 들어 청약경쟁률이 수십대 1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100% 미계약 발생
서울 미분양 물량이 급증한 원인은 서울 강동구 길동 ‘경지 아리움’ 아파트 영향이다. 이 아파트는 이례적으로 100% 미계약됐다. 지난 7월 말(29일~31일) 전체 124가구에 대한 정당 계약에서 단 한 명도 계약하지 않았다.
경지 아리움은 앞서 7월 중순 실시한 청약 접수에서 198명이 신청해 평균 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0개 주택형 중 2개 주택형만 마감됐고, 나머지는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최근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들이 수십 대 일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예상보다 청약률이 낮게 나오자 그나마 청약 신청한 사람들마저 모두 계약을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인근 중개업소들은 설명했다. 이 영향으로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7월 미분양 통계에서 서울 지역 미분양은 전월보다 54.5% 급증한 190가구를 기록했다.
이 아파트가 대거 미분양 된 것은 시세 차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이 아파트는 지하철 5호선 길동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 중소 건설사인 경지건설이선 시공한 뒤 분양하는 선시공·후분양 아파트이다. 이 상품은 모두 148가구다. 도시형생활주택 124가구와 오피스텔 24실로 구성돼 있다. 지하 1층~지상 16층 높이다. 이 중 도시형생활주택 124가구를 지난 7월에 분양했다. 분양물량 전체가 전용면적 13~26㎡의 소형 주택형으로 구성됐다. 분양가는 2억1400만~2억9900만원대다. 인근 K공인 관계자는 “원룸 오피스텔과 비교해도 상품 경쟁력이 뚜렷하지 않다 보니 수요자들이 외면했다”고 말했다. 부담스러운 분양가와 중도금과 잔금을 단시간에 마련해야 한다는 점 계약 참패의 요인이다.
◆차갑게 식은 도시형생활주택 인기
도시형 생활주택이 분양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다. 공급 과잉 상태인 데다 소규모 오피스텔 등 대안 투자처가 등장하며 설 자리를 잃어가는 추세다. 이는 1∼2인가구가 급증하자 지난 2009년 5월 정부가 도입한 주택이다. 아파트와 달리 주차장 설치와 건물 간격 등의 기준을 완화한 게 특징이다. 지난해까지 약 60만가구에 달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이 공급됐다. 별도의 자격요건이나 청약통장 없이 누구나 분양받을 수 있고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비해 저렴하다. 그러나 주차공간, 부대·복리시설 등이 부족한 점이 부각되며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최근 분양에 나서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처참한 흥행 실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 청약에서부터 미달사태를 보이고 있다.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는 “단기간에 너무 많은 도시형생활주택이 공급됐다”고 지적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
◆100% 미계약 발생
서울 미분양 물량이 급증한 원인은 서울 강동구 길동 ‘경지 아리움’ 아파트 영향이다. 이 아파트는 이례적으로 100% 미계약됐다. 지난 7월 말(29일~31일) 전체 124가구에 대한 정당 계약에서 단 한 명도 계약하지 않았다.
경지 아리움은 앞서 7월 중순 실시한 청약 접수에서 198명이 신청해 평균 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0개 주택형 중 2개 주택형만 마감됐고, 나머지는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최근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들이 수십 대 일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예상보다 청약률이 낮게 나오자 그나마 청약 신청한 사람들마저 모두 계약을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인근 중개업소들은 설명했다. 이 영향으로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7월 미분양 통계에서 서울 지역 미분양은 전월보다 54.5% 급증한 190가구를 기록했다.
이 아파트가 대거 미분양 된 것은 시세 차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이 아파트는 지하철 5호선 길동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 중소 건설사인 경지건설이선 시공한 뒤 분양하는 선시공·후분양 아파트이다. 이 상품은 모두 148가구다. 도시형생활주택 124가구와 오피스텔 24실로 구성돼 있다. 지하 1층~지상 16층 높이다. 이 중 도시형생활주택 124가구를 지난 7월에 분양했다. 분양물량 전체가 전용면적 13~26㎡의 소형 주택형으로 구성됐다. 분양가는 2억1400만~2억9900만원대다. 인근 K공인 관계자는 “원룸 오피스텔과 비교해도 상품 경쟁력이 뚜렷하지 않다 보니 수요자들이 외면했다”고 말했다. 부담스러운 분양가와 중도금과 잔금을 단시간에 마련해야 한다는 점 계약 참패의 요인이다.
◆차갑게 식은 도시형생활주택 인기
도시형 생활주택이 분양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다. 공급 과잉 상태인 데다 소규모 오피스텔 등 대안 투자처가 등장하며 설 자리를 잃어가는 추세다. 이는 1∼2인가구가 급증하자 지난 2009년 5월 정부가 도입한 주택이다. 아파트와 달리 주차장 설치와 건물 간격 등의 기준을 완화한 게 특징이다. 지난해까지 약 60만가구에 달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이 공급됐다. 별도의 자격요건이나 청약통장 없이 누구나 분양받을 수 있고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비해 저렴하다. 그러나 주차공간, 부대·복리시설 등이 부족한 점이 부각되며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시작했다.
최근 분양에 나서는 도시형 생활주택은 처참한 흥행 실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 청약에서부터 미달사태를 보이고 있다.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는 “단기간에 너무 많은 도시형생활주택이 공급됐다”고 지적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