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방사포' 등 신무기 가능성…정점고도 50∼60㎞로 '요격회피' 과시
NSC 상임위 긴급회의, 군사안보 상황 점검…靑 "강한 우려" 표명
北, 대화제의 속 '안보우려 해소' 의제화·'군사강국' 과시로 체제결속 도모


북한은 10일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북방 방향으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이 발사체는 서쪽 내륙에서 동해 쪽으로 내륙횡단 방식으로 발사되어 최근 공개된 '초대형 방사포' 등 신형무기체계의 정확도와 유도기능·비행성능 등을 최종 시험하는 성격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특히 미국에 대화 용의를 표명한 지 10시간도 안 돼 이뤄진 이번 무력시위는 미국에 전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대내적으로는 정권 수립일(9·9절)을 계기로 '군사강국'을 과시하며 체제결속을 도모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53분경, 오전 7시 12분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북한 발사체 330km 비행…"내륙관통 시험 가능성" / 연합뉴스 (Yonhapnews)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됐다.

정점고도 50∼60㎞로, 개천에서 동북방 직선 방향으로 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미 군 당국은 이 발사체의 정점 고도와 비행속도, 요격 회피 기능 여부 등을 정밀 분석하면서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을 앞두고 추가 발사할 가능성도 크다고 판단, 대북 감시를 계속 강화할 방침이다.
北, 10번째 단거리 발사체 2발 발사…내륙횡단 최대 330㎞ 비행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를 쏜 건 지난달 24일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단거리 탄도미사일급)를 발사한 지 17일 만이다.

올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10번째다.

지금까지 모두 20발을 쐈다.

아직 이번 발사체의 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직경 600㎜로 추정되는 '초대형 방사포' 또는 지난 7월 이후 잇따라 발사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일단 발사지점이 평안남도 내륙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새로운 무기라기보다는 북한이 지난 7, 8월 발사한 4종의 신무기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중에서도 지난달 10일, 16일 잇달아 시험 발사했지만, 아직 내륙횡단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이른바 '북한판 에이태킴스'나 지난달 24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지난 5월 4일 첫 시험 발사 이후 최소 5번 발사가 이뤄졌고, 8월 6일에는 황해남도 과일군에서 동북방 방향의 내륙을 가로지르는 시험 발사도 진행된 바 있다.

이번 발사와 관련, 청와대는 이날 오전 8시 10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청와대는 회의 후 북한이 지난 5월 이후 단거리 발사체를 계속 발사하는 데 대해 강한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따른 한반도의 전반적인 군사안보 상황도 점검했다.

합참은 "현재 우리 군은 추가발사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북한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 행위는 한반도 긴장 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이 전날 미국을 향해 대화 메시지를 발신한 직후 무력시위를 벌인 배경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전날 밤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9월 하순경 합의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미국 측과 마주 앉아 지금까지 우리가 논의해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토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북한이 안보 우려 해소를 위한 상용무력(재래식무기)의 지속적인 개발 의지를 보임으로써 북미협상에서 안전보장 문제를 의제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그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처럼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미사일이 아니라면 크게 문제가 될 게 없다는 반응을 보여왔지만, 이들 신형무기는 한국군 뿐 아니라 주한미군에도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북한이 지난 5월부터 9차례 발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급 발사체는 모두 신형무기로 추정된다.

고체연료, 이동식 발사차량(TEL)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동성과 은밀성이 대폭 강화한 무기체계로 평가된다.

이들 발사체의 사거리는 220∼600여㎞로, 평택 주한미군 기지와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F-35A 스텔스 전투기 모기지인 청주 공군기지, 경북 성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기지 등이 모두 타격 범위 안에 있다.

특히 저고도로 비행해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로 요격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우리나라(일본) 영역과 배타적경제수역(EEZ)에 탄도미사일이 날아온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현시점에서 우리나라 안보에 영향을 주는 사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고 NHK가 보도했다.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방위상은 방위성에서 기자들에게 "북한이 거듭해서 미사일 등의 발사를 해 관련 기술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심각한 과제라고 보고 정세를 제대로 주시해 경계 감시태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