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환경상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에 안버리면 어디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라다 환경상,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해양 방출, 꽤 괜찮은 방법"
"해양 방출, 꽤 괜찮은 방법"
하라다 요시아키 일본 환경상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해야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10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하라다 환경상은 이날 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 트리튬을 포함한 오염수를 처리하는 문제에 대해 "내 소관 밖의 일"이라면서도 "눈 딱 감고 (바다에) 방출하는 것 말고 선택지가 없다"고 말했다.
하라다 환경상은 "앞으로 (일본) 정부 전체에서 신중하게 논의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단순한 의견으로 들어달라"면서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원자력 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전성과 과학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문제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지금 국가에 필요한 게 뭔지를 항상 생각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어디선가는 결단을 내리는 게 중요하다"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결단을 시사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2011년 3월 동인도대지진 당시 발생한 폭발사고로 가동이 중단됐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지하수로 흘러들어가고 있고, 여기에 원자로에서 녹아내린 핵연료(파편)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주입하면서 오염된 물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후쿠시마 원전 운용사였던 도쿄전력은 원전 건물 주변에 설치한 약 40개의 우물로 지하수를 끌어올려 방사성 물질을 희석 처리해 원전부지 내 물탱크에 저장했다.
현재 약 980개의 저장 탱크에 고인 방사성 트리튬 등 오염수는 약 115만t에 달하는데 지금도 하루 150t 정도씩 증가하고 있다. 2022년 8월이면 원전 부지 내 오염수 물탱크가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후속 처리 대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상황에서 지난달 초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원자력전문가 숀 버니는 '이코노미스트' 기고문을 통해 "일본 아베 내각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일원전에 쌓여 있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00톤 이상을 태평양에 방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폭로해 파문이 일었다.
버니는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돌면 한국을 포함한 태평양 연안 국가들이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에서도 "일본 정부가 구성한 전문가 위원회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책으로 해양 방류를 중점적으로 검토해왔지만,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논의가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논란이 커지자 일본 측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은 공식 입장이 아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하라다 환경상을 발언을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가능성을 일본 내에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됐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10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하라다 환경상은 이날 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 트리튬을 포함한 오염수를 처리하는 문제에 대해 "내 소관 밖의 일"이라면서도 "눈 딱 감고 (바다에) 방출하는 것 말고 선택지가 없다"고 말했다.
하라다 환경상은 "앞으로 (일본) 정부 전체에서 신중하게 논의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단순한 의견으로 들어달라"면서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원자력 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전성과 과학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문제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지금 국가에 필요한 게 뭔지를 항상 생각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어디선가는 결단을 내리는 게 중요하다"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결단을 시사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2011년 3월 동인도대지진 당시 발생한 폭발사고로 가동이 중단됐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지하수로 흘러들어가고 있고, 여기에 원자로에서 녹아내린 핵연료(파편)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주입하면서 오염된 물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후쿠시마 원전 운용사였던 도쿄전력은 원전 건물 주변에 설치한 약 40개의 우물로 지하수를 끌어올려 방사성 물질을 희석 처리해 원전부지 내 물탱크에 저장했다.
현재 약 980개의 저장 탱크에 고인 방사성 트리튬 등 오염수는 약 115만t에 달하는데 지금도 하루 150t 정도씩 증가하고 있다. 2022년 8월이면 원전 부지 내 오염수 물탱크가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후속 처리 대책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 상황에서 지난달 초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원자력전문가 숀 버니는 '이코노미스트' 기고문을 통해 "일본 아베 내각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일원전에 쌓여 있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00톤 이상을 태평양에 방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폭로해 파문이 일었다.
버니는 "오염수가 해류를 타고 바다를 돌면 한국을 포함한 태평양 연안 국가들이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에서도 "일본 정부가 구성한 전문가 위원회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책으로 해양 방류를 중점적으로 검토해왔지만,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논의가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논란이 커지자 일본 측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은 공식 입장이 아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하라다 환경상을 발언을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가능성을 일본 내에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됐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