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街 대전망] 널뛰는 원자재시장, 금값 '랠리' 유가 '타격' 계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은 등 안전자산, 경기 우려에 '활짝'
국제유가, 수요부진·공급과잉에 '우울'
국제유가, 수요부진·공급과잉에 '우울'
미중 무역분쟁이 원자재 시장을 흔들고 있다. 경기 둔화 우려가 불거지면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 가격은 앞다퉈 뛰어오르고 있다. 가격급등 피로감에다 일부 불확실성 해소 덕에 금 가격이 다소 조정을 받았지만 향후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상당수다.
반면 경기와 밀접한 관계인 국제 유가는 수요 부진에다 공급 과잉까지 겹치면서 반등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당분간 유가는 미국의 원유 증산량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을 위한 정치적 판단 등에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안전자산 선호 지속될 것"
14일 뉴욕상품거래소(COMES)에 따르면 금 선물 가격은 최근 온스당 1560.4달러까지 상승한 이후 조정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1500달러도 내주면서 고점을 기록하고 연일 내리막이다.
미중 무역분쟁과 홍콩 시위 관련 부담감이 해소된 영향이다.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협상은 오는 10월 초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다. 협상 자체가 지속된다는 기대감이 안전자산선호심리를 훼손했다.
홍콩 정부가 이른바 '송환법'(범죄인 인도 법안)을 철회하면서 홍콩 시위도 일단락된 상황이다. 다만 시위대가 요구한 다섯 가지 사항 중 한 가지만 수용됐다는 점은 여전한 부담이다.
전문가들은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안전자산에 대한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했다.
SK증권에 따르면 금 가격이 조정 받았지만 여전히 금 상장지수펀드(ETF)로 자금이 강하게 유입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증권사 김수정 연구원은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미국과 독일의 제조업 지표 하락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 중"이라며 "미중 무역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장기화가 전망돼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은 역시 안전자산으로 부각되는 상황이지만 금 투자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이 수요 측면에서 안전자산의 성격이 약해서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향후 은 가격 상승 지속 여부는 안전자산 수요가 얼만큼 은으로 유입되는지에 달렸다"며 "은은 경기에 민감한 산업재 비중이 전체 수요의 50%로 금에 비해 높고 중앙은행 등이 보유하는 자산이 아닌 만큼 안전자산 수요처가 다양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원유, 수요 개선 가능성 희미, 공급 과잉 전망…약세 지속할 것"
국제유가는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유가는 대부분의 산업에 활용되는 원자재로 통상 경기가 좋으면 수요가 늘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경기가 좋지 않으면 수요 하락으로 가격이 내려가는 성질을 지녔다.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를 기준으로 지난달 초 미중 분쟁이 격화되면서 배럴당 51.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후 53~58달러 범위의 좁은 박스권 내에서 지루하게 횡보하는 모습이다.
유가에 부담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결국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다. 무역분쟁이 길어지면서 글로벌 교역이 줄어들었고 성장은 둔화됐다. 이에 따른 수요 부진은 국제유가를 짓누르고 있다.
심혜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대립을 이어가면서 중국 위안화는 약세를 지속, 중국의 구매력을 저하시켜 유가를 끌어내리고 있다"며 "동시에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표시 원자재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향후 유가는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수요가 불안한 가운데 공급 과잉 이슈가 겹칠 것으로 전망돼서다.
미중 무역분쟁 환경이 쉽게 개선되기 어렵다고 본다면 원유 수요 부진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때문에 공급 측면에서 유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황현수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은 지난달 중순 미국은 에픽(EPIC)과 캑터스(Cactus2) 송유권 시설을 확보했다"며 "원유의 수송량 증가는 미국 원유 수출 확대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원유 증산으로 이어져 원유 공급은 과잉 상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지지 기반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라는 점도 살펴야 한다"며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를 지지했던 주는 대부분이 제조업 벨트에 속해있었고 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내년 재선을 위해서라도 낮은 수준의 유가를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반면 경기와 밀접한 관계인 국제 유가는 수요 부진에다 공급 과잉까지 겹치면서 반등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당분간 유가는 미국의 원유 증산량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을 위한 정치적 판단 등에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안전자산 선호 지속될 것"
14일 뉴욕상품거래소(COMES)에 따르면 금 선물 가격은 최근 온스당 1560.4달러까지 상승한 이후 조정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1500달러도 내주면서 고점을 기록하고 연일 내리막이다.
미중 무역분쟁과 홍콩 시위 관련 부담감이 해소된 영향이다.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협상은 오는 10월 초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다. 협상 자체가 지속된다는 기대감이 안전자산선호심리를 훼손했다.
홍콩 정부가 이른바 '송환법'(범죄인 인도 법안)을 철회하면서 홍콩 시위도 일단락된 상황이다. 다만 시위대가 요구한 다섯 가지 사항 중 한 가지만 수용됐다는 점은 여전한 부담이다.
전문가들은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안전자산에 대한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했다.
SK증권에 따르면 금 가격이 조정 받았지만 여전히 금 상장지수펀드(ETF)로 자금이 강하게 유입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증권사 김수정 연구원은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미국과 독일의 제조업 지표 하락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 중"이라며 "미중 무역분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장기화가 전망돼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은 역시 안전자산으로 부각되는 상황이지만 금 투자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이 수요 측면에서 안전자산의 성격이 약해서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향후 은 가격 상승 지속 여부는 안전자산 수요가 얼만큼 은으로 유입되는지에 달렸다"며 "은은 경기에 민감한 산업재 비중이 전체 수요의 50%로 금에 비해 높고 중앙은행 등이 보유하는 자산이 아닌 만큼 안전자산 수요처가 다양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원유, 수요 개선 가능성 희미, 공급 과잉 전망…약세 지속할 것"
국제유가는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유가는 대부분의 산업에 활용되는 원자재로 통상 경기가 좋으면 수요가 늘면서 가격도 상승하고 경기가 좋지 않으면 수요 하락으로 가격이 내려가는 성질을 지녔다.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를 기준으로 지난달 초 미중 분쟁이 격화되면서 배럴당 51.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후 53~58달러 범위의 좁은 박스권 내에서 지루하게 횡보하는 모습이다.
유가에 부담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결국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다. 무역분쟁이 길어지면서 글로벌 교역이 줄어들었고 성장은 둔화됐다. 이에 따른 수요 부진은 국제유가를 짓누르고 있다.
심혜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대립을 이어가면서 중국 위안화는 약세를 지속, 중국의 구매력을 저하시켜 유가를 끌어내리고 있다"며 "동시에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표시 원자재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향후 유가는 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수요가 불안한 가운데 공급 과잉 이슈가 겹칠 것으로 전망돼서다.
미중 무역분쟁 환경이 쉽게 개선되기 어렵다고 본다면 원유 수요 부진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때문에 공급 측면에서 유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황현수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은 지난달 중순 미국은 에픽(EPIC)과 캑터스(Cactus2) 송유권 시설을 확보했다"며 "원유의 수송량 증가는 미국 원유 수출 확대로 이어지고 이는 미국의 원유 증산으로 이어져 원유 공급은 과잉 상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지지 기반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라는 점도 살펴야 한다"며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를 지지했던 주는 대부분이 제조업 벨트에 속해있었고 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내년 재선을 위해서라도 낮은 수준의 유가를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