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상고심 후 첫 현장 경영은 'AI연구소'…"불확실성 클수록 흔들림 없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고심 후 첫 경영 행보는 삼성리서치
AI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선행 연구소
"미래 선도 기술 위한 혁신 지속" 의지
이 부회장, 작년부터 글로벌 인재 직접 영입
AI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선행 연구소
"미래 선도 기술 위한 혁신 지속" 의지
이 부회장, 작년부터 글로벌 인재 직접 영입

11일 삼성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자 서울R&D캠퍼스에 있는 삼성리서치를 찾아 삼성전자 세트부문의 차세대 기술전략을 논의했다.
이 부회장이 이날 찾은 삼성리서치는 삼성전자 세트부문의 통합 연구 조직으로, 전 세계 14개 연구거점에서 1만여명의 인력들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신기술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융복합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곳이다.
이 자리에는 김현석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삼성리서치 연구소장), 노희찬 경영지원실장 사장, 한종희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 노태문 무선사업부 개발실장 사장, 조승환 삼성리서치 부사장, 전경훈 네트워크사업부장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또 "오늘의 삼성은 과거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미래였다"며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고 철저하게 준비하고 끊임 없이 도전해 꼭 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인공지능과 차세대 통신 등 미래 선행기술의 글로벌 R&D 허브로 꼽히는 삼성리서치를 찾은 것은 과거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선도하기 위한 강도 높은 혁신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작년까지 한국, 미국, 영국, 러시아, 캐나다 등 5개국에 AI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또 세바스찬 승 교수(미 프린스턴대), 위구연 교수(하버드대), 다니엘 리 교수(코넬대) 등 세계적인 석학을 영입하는 한편 세계 선진 연구자들과 협업도 병행하는 등 인공지능 역량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