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명절이 없었으면"…추석이 더 외로운 사람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홀몸 노인·새터민·외국 노동자 "가족이 그리워요"
"명절이 싫어. 찾아올 가족도 없고, 세상에 나 혼자라는 생각이 들어 더 서글프기만 해…" 청주시 상당구에 사는 박모(74) 할머니는 추석인 13일 헛헛한 마음을 달랠 길이 없다.
남들에게 추석은 가족들이 오랜만에 모이는 반가운 명절이지만, 그에게는 외로움만 더 크게 느끼는 힘든 날이다.
자식이 있지만, 몇 년 전부터 연락이 끊긴 탓에 추석에 찾아올 사람이 없다.
평소 다니는 복지관이나 노인정도 명절에는 나오는 사람이 없어 좁은 방에서 TV를 친구 삼아 고독과 싸워야 한다.
그는 "평소에는 잘 모르다가도 명절만 되면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는 내 신세가 처량하게 느껴진다"며 "차라리 명절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허전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말을 더는 잇지 못하는 그의 주름진 눈에는 눈물이 그렁그렁 비쳤다. 대전에 사는 오모(82) 할머니도 추석을 혼자 보낸다.
자식이 없는 오 할머니는 7년 전 함께 살던 남편과도 사별했다.
인근에 남동생이 살지만, 조카들 눈치가 보여 명절에도 일부러 가지 않는다.
오 할머니는 "7남매인데 다 죽고 동생 하나 남았지만, 동생도 나이가 여든이 다 됐다"며 "명절이면 조카들이 모두 동생 집에 오는데 내가 밥 한 끼 얻어먹겠다고 거기에 어떻게 가느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경로당에서 친구들과 함께 지내는 게 낙이지만, 명절 연휴는 그것마저 하지 못한다.
"추석에는 경로당에도 오는 사람이 없다"는 오 할머니는 '함께 할 가족이 없다'는 현실이 서럽기만 하다. 흥겨운 분위기로 들썩이는 추석이 더 외로운 이웃들이 적지 않다.
함경북도 출신인 새터민 김한오(가명·43)씨는 광주시에 정착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명절 때마다 고향에 두고 온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으로 마음이 무겁다.
김씨는 "명절이 다가오면 10년 동안 단 한 번도 뵙지 못한 아버지와 고향이 더 많이 생각난다"고 고향에 가지 못하는 심경을 토로했다.
가정을 꾸리고 안정적으로 생활하는 김씨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가정이 없거나 탈북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터민들의 명절은 외로움 그 자체다.
코리안드림을 기대하고 한국을 찾은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도 추석은 야속하다.
경기도 시흥의 한 철강 제조업체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국적의 헨드라 아산(33) 씨는 연휴에도 일한다.
흥겨운 분위기로 들썩거리는 추석이 그에게는 오히려 곤욕이다.
문을 열지 않는 식당이 많아 끼니를 챙기기 어려운 불편은 견딜만하지만, 고향에 두고 온 가족들을 생각할 때 드는 외로움은 이겨내기 힘들다.
그는 지난해 아내와 어린 두 아들을 고국에 두고 한국행을 택했다.
가족들에게 다달이 돈을 보낸다는 사실이 다행이지만, 명절처럼 긴 연휴를 맞게 되면 가족들 얼굴이 더 아른거린다.
그는 "공장이 연휴에도 가동해 고국에 다녀오기 어렵다"며 "아내, 아들과 화상 통화를 하며 얼굴을 보는 것으로 그리움을 달랜다"고 말했다. 복지시설의 추석 풍경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경기도 파주의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이은우(86) 할아버지는 "예전에는 명절이 즐거웠는데, 이곳에 온 뒤에는 찾아오는 가족도 없어 우울하다"며 "몸이라도 성했으면 여기저기 다닐 텐데"라고 서글픈 표정을 지었다.
그는 "자식들이 먹고살기 힘드니까 찾아오기 힘들겠지"라며 애써 위안을 하지만 "그래도 명절에는 아이들 얼굴 한 번 봤으면 좋겠다"고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복지시설 관계자는 "요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기관이나 단체 등의 복지시설에 대한 지원도 예전만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절에 외로움을 많이 타고, 가족들을 그리워하는 노인들의 모습을 보면 몹시 애처롭다"고 안타까워했다.
/연합뉴스
"명절이 싫어. 찾아올 가족도 없고, 세상에 나 혼자라는 생각이 들어 더 서글프기만 해…" 청주시 상당구에 사는 박모(74) 할머니는 추석인 13일 헛헛한 마음을 달랠 길이 없다.
남들에게 추석은 가족들이 오랜만에 모이는 반가운 명절이지만, 그에게는 외로움만 더 크게 느끼는 힘든 날이다.
자식이 있지만, 몇 년 전부터 연락이 끊긴 탓에 추석에 찾아올 사람이 없다.
평소 다니는 복지관이나 노인정도 명절에는 나오는 사람이 없어 좁은 방에서 TV를 친구 삼아 고독과 싸워야 한다.
그는 "평소에는 잘 모르다가도 명절만 되면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는 내 신세가 처량하게 느껴진다"며 "차라리 명절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허전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말을 더는 잇지 못하는 그의 주름진 눈에는 눈물이 그렁그렁 비쳤다. 대전에 사는 오모(82) 할머니도 추석을 혼자 보낸다.
자식이 없는 오 할머니는 7년 전 함께 살던 남편과도 사별했다.
인근에 남동생이 살지만, 조카들 눈치가 보여 명절에도 일부러 가지 않는다.
오 할머니는 "7남매인데 다 죽고 동생 하나 남았지만, 동생도 나이가 여든이 다 됐다"며 "명절이면 조카들이 모두 동생 집에 오는데 내가 밥 한 끼 얻어먹겠다고 거기에 어떻게 가느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경로당에서 친구들과 함께 지내는 게 낙이지만, 명절 연휴는 그것마저 하지 못한다.
"추석에는 경로당에도 오는 사람이 없다"는 오 할머니는 '함께 할 가족이 없다'는 현실이 서럽기만 하다. 흥겨운 분위기로 들썩이는 추석이 더 외로운 이웃들이 적지 않다.
함경북도 출신인 새터민 김한오(가명·43)씨는 광주시에 정착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명절 때마다 고향에 두고 온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으로 마음이 무겁다.
김씨는 "명절이 다가오면 10년 동안 단 한 번도 뵙지 못한 아버지와 고향이 더 많이 생각난다"고 고향에 가지 못하는 심경을 토로했다.
가정을 꾸리고 안정적으로 생활하는 김씨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가정이 없거나 탈북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터민들의 명절은 외로움 그 자체다.
코리안드림을 기대하고 한국을 찾은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도 추석은 야속하다.
경기도 시흥의 한 철강 제조업체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국적의 헨드라 아산(33) 씨는 연휴에도 일한다.
흥겨운 분위기로 들썩거리는 추석이 그에게는 오히려 곤욕이다.
문을 열지 않는 식당이 많아 끼니를 챙기기 어려운 불편은 견딜만하지만, 고향에 두고 온 가족들을 생각할 때 드는 외로움은 이겨내기 힘들다.
그는 지난해 아내와 어린 두 아들을 고국에 두고 한국행을 택했다.
가족들에게 다달이 돈을 보낸다는 사실이 다행이지만, 명절처럼 긴 연휴를 맞게 되면 가족들 얼굴이 더 아른거린다.
그는 "공장이 연휴에도 가동해 고국에 다녀오기 어렵다"며 "아내, 아들과 화상 통화를 하며 얼굴을 보는 것으로 그리움을 달랜다"고 말했다. 복지시설의 추석 풍경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경기도 파주의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이은우(86) 할아버지는 "예전에는 명절이 즐거웠는데, 이곳에 온 뒤에는 찾아오는 가족도 없어 우울하다"며 "몸이라도 성했으면 여기저기 다닐 텐데"라고 서글픈 표정을 지었다.
그는 "자식들이 먹고살기 힘드니까 찾아오기 힘들겠지"라며 애써 위안을 하지만 "그래도 명절에는 아이들 얼굴 한 번 봤으면 좋겠다"고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복지시설 관계자는 "요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기관이나 단체 등의 복지시설에 대한 지원도 예전만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절에 외로움을 많이 타고, 가족들을 그리워하는 노인들의 모습을 보면 몹시 애처롭다"고 안타까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