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TV 출하량이 한국을 처음 앞섰다. 한국과의 매출 격차도 빠르게 좁히며 한국 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3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작년 출하량을 기준으로 중국 TV 브랜드인 TCL·하이센스·샤오미의 합산 점유율은 31.3%로, 삼성전자·LG전자의 점유율 28.4%를 앞질렀다.중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매년 증가해 2020년 24.4%에서 2021년 26.3%, 2022년 28.4%, 2023년 29.6%를 기록한 뒤 지난해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섰다.같은 기간 한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매년 감소해 2020년 33.4%에서 2021년 32.6%, 2022년 31.3%, 2023년 29.8%로 내려앉았다.매출 점유율도 한국 브랜드는 하락하는 반면 중국 브랜드는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0년 31.9%에서 2024년 28.3%로, LG전자는 16.5%에서 16.1%로 하락했다. 반면 한국을 맹추격하고 있는 TCL은 7.4%에서 12.4%로 상승했다. 중국의 하이센스도 지난해 점유율 10.5%를 기록하며 10%대로 올라왔다.이에 따라 한국(삼성전자·LG전자)과 중국(TCL·하이센스)의 점유율은 2020년 48.4%와 13.5%에서 지난해 44.4%와 22.9%로 격차가 좁혀졌다.중국은 자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저가 시장을 중심으로 물량 공세를 이어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감안해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특히 안방 시장인 한국에서도 점유율을 빼앗기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앞으로 중국과의 가격 경쟁은 더 심화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보조금 지급, 대중 관세 부과 등 시장을 지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m
'투자의 스승'으로 꼽히는 워런 버핏(94)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의 현금 보유액이 10분기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버크셔가 22일(현지시간)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금 보유액은 3342억 달러(480조7467억원)로 역대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이는 3분기 말 3252억 달러에서 더 늘어난 수치다.버크셔의 현금 보유액은 2022년 3분기부터 증가하고 있다. 4분기 동안 버크셔는 67억 달러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전해졌다.버핏은 이날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을 통해 현금을 과도하게 보유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회사 자금의 대부분이 여전히 공개 및 비공개 주식에 투자돼 있고 이 방침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금성 자산을 우량 기업의 소유보다 선호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버핏은 현금 보유액을 늘리고 있는 이유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같은 기간 버크셔의 상장 주식 보유량은 23% 줄어든 2720억 달러였다. 영업이익은 145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1% 급증했는데, 지난 4분기 투자 수익이 늘어나고 보험 사업이 개선되면서다. 연간 영업이익은 27% 증가한 474억3700만 달러를 기록했다.버핏은 버크셔가 보유 중인 일본 5대 종합상사의 보유 지분을 확대할 수도 있다고도 밝혔다. 그는 당초 이들 종합상사의 지분율을 10% 미만으로 유지하려 했지만, 해당 기업들과 지분 확대에 합의했다고 설명했다.이민형 한경닷컴 기자 meaning@hankyung.com
폐렴 진단을 받고 9일째 입원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때 호흡곤란 증세를 겪는 등 병세가 위중한 상황으로 전해졌다.교황청은 22일(현지시간) 오후 성명을 통해 "교황이 오전에 천식과 비슷한 호흡 곤란 증세를 보여 고용량 산소 치료를 받았다"고 밝혔다.또 매일 진행하는 혈액 검사에서는 혈소판 감소증과 빈혈이 확인돼 수혈했다고 알렸다. 교황청은 "현재로선 예후가 확실하지 않다"며 "교황은 여전히 의식이 있으며 오늘은 안락의자에 앉아 있었다. 하지만 어제보다 더 고통스러워했다"고 설명했다.교황은 이달 초부터 기관지염을 앓다 지난 14일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한 바 있다. 교황청은 교황 입원 초 '다균성 호흡기 감염'으로 복합적 임상 상황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가, 지난 18일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양쪽 폐에 폐렴이 확인됐다고 했다.지난 19일부터는 혈류 지표가 안정적이고 발열이 없는 등 교황이 회복 기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의료진은 전날 병세가 위험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오는 23일까지 교황의 모든 외부 일정은 취소됐다. 이에 교황은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어오던 주일 삼종기도를 지난 16일에 이어 23일에도 집전하지 못하게 됐다.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