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 양산체제 구축
포스코는 선박 스크러버용 고합금 스테인리스강 양산체제를 갖췄다고 18일 발표했다. IMO는 내년부터 모든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을 기존 3.5% 이하에서 0.5% 이하로 강화하도록 했다. 해운사들이 IMO 규제를 지키려면 △스크러버 설치 △저유황유로 연료 교체 △액화천연가스(LNG) 엔진으로 선박 교체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 가운데 스크러버 설치가 비용 대비 경제성이 가장 높아 향후 5년간 1만2000여 척 이상의 선박에 스크러버가 설치될 것으로 업계에선 보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부터 판매와 생산, 연구소 등을 아우른 전문가 대응팀을 꾸렸고, 올해 초 스크러버용 고합금 스테인리스 강재인 ‘S31254’강 양산에 성공했다. 선박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스크러버 1기당 5~20t의 강재가 쓰인다. 포스코는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과 강림중공업, STI 등 국내 스크러버 제작사에 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는 이번에 스크러버용 강재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8개월 가까이 걸리던 강재 수급 기간을 단축하는 것은 물론 외국산 대비 가격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