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발전 위해선 R&D 정책 일관성 갖춰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경쟁력포럼
제43회 산업경쟁력포럼이 19일 서울 장충동 서울클럽에서 열렸다. 산업경쟁력포럼은 국가미래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하는 행사다. 이날 세미나의 주제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 방향’이었다.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은 발제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 단장은 “오랜 기간 높은 실패 위험으로 인해 신약 개발에서 개방형 혁신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며 “국내에도 기업 간 파트너링을 위한 기회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보 교류, 투자 유치 등을 넘어 실질적 협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종 분야 외에도 인공지능(AI), 데이터플랫폼 기업과의 협업도 강조했다.
규제 혁신에 대해서는 인허가 제도의 정비를 지적했다. 이 단장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적시 제품이 출시될 수 있도록 인허가 제도를 정비해야다”며 “디지털 신약, 디지털 치료제가 개발되는 등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만큼 이들 제품에 대한 인허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연구개발(R&D) 지원에 있어 정부부처의 정책 조정 메커니즘 강화도 주문했다. 바이오 및 보건의료 분야의 R&D 지원을 담당하는 부처는 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지만 교육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등까지 합치면 14개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2015년 바이오·의료 분야 연구개발 컨트롤타워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치한 일본의 사례를 든 이 단장은 “바이오의약품이 시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R&D, 인허가, 건강보험 등이 관련돼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정책조정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 신상철 이원다이애그노믹스 대표, 강성지 웰트 대표, 이강복 서울기술투자 대표, 최인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근거연구본부장, 김선기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연구개발분석단장은 발제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 단장은 “오랜 기간 높은 실패 위험으로 인해 신약 개발에서 개방형 혁신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며 “국내에도 기업 간 파트너링을 위한 기회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보 교류, 투자 유치 등을 넘어 실질적 협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동종 분야 외에도 인공지능(AI), 데이터플랫폼 기업과의 협업도 강조했다.
규제 혁신에 대해서는 인허가 제도의 정비를 지적했다. 이 단장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적시 제품이 출시될 수 있도록 인허가 제도를 정비해야다”며 “디지털 신약, 디지털 치료제가 개발되는 등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만큼 이들 제품에 대한 인허가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연구개발(R&D) 지원에 있어 정부부처의 정책 조정 메커니즘 강화도 주문했다. 바이오 및 보건의료 분야의 R&D 지원을 담당하는 부처는 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지만 교육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등까지 합치면 14개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2015년 바이오·의료 분야 연구개발 컨트롤타워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치한 일본의 사례를 든 이 단장은 “바이오의약품이 시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R&D, 인허가, 건강보험 등이 관련돼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정책조정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회장, 신상철 이원다이애그노믹스 대표, 강성지 웰트 대표, 이강복 서울기술투자 대표, 최인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보건의료근거연구본부장, 김선기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