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개 저축은행 예·적금, 앱 하나로 골라서 가입하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B톡톡 플러스' 앱 출시
기존 'SB톡톡' 대폭 업그레이드
시중은행 풀뱅킹 앱과 경쟁 나서
기존 'SB톡톡' 대폭 업그레이드
시중은행 풀뱅킹 앱과 경쟁 나서
저축은행중앙회가 66개 저축은행의 예·적금 가입과 대출 등 금융 서비스를 창구 방문 없이 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 SB톡톡 플러스(사진)를 선보였다. 카카오톡 기반의 간편 송금을 할 수 있고, 카드도 신청할 수 있다. 정보기술(IT) 인프라 재원이 부족한 중·소형 저축은행들도 본격적으로 핀테크(금융기술) 업체 및 시중은행과 ‘비대면 금융 경쟁’을 벌일 수 있게 됐다.
저축은행도 비대면 금융 경쟁에
앞서 2016년 말 저축은행중앙회가 출시한 SB톡톡은 중소 저축은행을 위한 금융 앱이었다. 하지만 평일 업무시간에만 이용 가능했고, ‘신분증 인식이 잘 되지 않는다’ ‘입출금 내역 확인이 어렵다’는 이용자 불만이 적지 않았다. 그 사이 대형 저축은행들은 자체 간편금융 앱으로 ‘대박’을 터뜨렸다. 출시 1년여 만에 앱을 통해 1조원어치의 예금을 모은 웰컴저축은행의 웰컴디지털뱅킹(웰뱅)이 대표적인 사례다.
중앙회는 SB톡톡 기능을 대폭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지난해 말 회원사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했고, 10개월여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최근 SB톡톡 플러스를 내놨다.
SB톡톡 플러스는 저축은행들의 상품을 비교하거나 전체 계좌를 보여주는 ‘플랫폼’ 기능과 저축은행별로 계좌관리를 할 수 있는 ‘로그인’ 서비스를 함께 갖추고 있다. 앱 초기 화면에서 66개 저축은행의 예·적금과 대출 상품을 한눈에 보여준다는 게 특징이다. 로그인을 하면 저축은행별로 가입한 예금과 대출 상품 등을 조회하고 이체도 할 수 있다.
예·적금 비교 ’눈길‘
금융 소비자가 저축은행을 찾는 이유는 시중은행보다 비교적 높은 예·적금 금리를 주기 때문이다. 초기 ’상품검색’ 화면에선 66개 저축은행 예·적금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특판’ ‘최신순’ ‘위치’ ‘금리’ 등의 기준을 두고 분류를 해주는 게 특징이다. 영업 지역 규제가 있는 저축은행 특성상 시도별 분류를 통해 상품을 보여주기도 한다. 중앙회는 특히 ‘특판’ 탭에서 저축은행 간 경쟁이 활발해지면 상당한 고객 유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교직원공제회 계열 더케이저축은행은 온라인 금융 첫 가입자에게 최대 연 2.7%의 금리를 주는 정기예금, 연 3.1% 금리의 정기적금 특판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 자유입출금 계좌에 가입해보니 시중 금융 앱보다 절차가 복잡한 편이었다. 약관동의, 보안매체 등록, 주소 입력에 신분증도 사진으로 요구했다. 1원을 다른 은행의 계좌로 보낸 뒤 비밀번호 네 자리를 입력하는 절차도 거쳐야 했다.
고도화에 사활
로그인은 스마트폰에 등록된 지문으로 간편하게 가능했다. 6자리 핀번호, 보안카드, 공인인증서 등 시중에서 활용되는 모든 인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대출신청 및 대출 철회, 금리인하요구, 재증명서 발급 등의 금융 서비스를 모두 비대면으로 할 수 있다. 아직 간편 대출 등의 일부 기능은 옛 앱(SB톡톡)으로 안내하고 있지만, 조만간 구현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체크카드를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아직 롯데카드의 아임(I’m) 시리즈만 발급 가능했다.
아직 최고 수준의 금융 앱으로 평가하긴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66개 저축은행의 금융 서비스를 모두 붙이면서 편의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쉽지 않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여겨졌다. 중앙회 관계자는 “개발진이 아직 후속 기능을 붙이고 있고, 24시간 콜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계”라며 “시중은행의 금융 앱 못지않은 사용자와 거래건수를 달성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저축은행도 비대면 금융 경쟁에
앞서 2016년 말 저축은행중앙회가 출시한 SB톡톡은 중소 저축은행을 위한 금융 앱이었다. 하지만 평일 업무시간에만 이용 가능했고, ‘신분증 인식이 잘 되지 않는다’ ‘입출금 내역 확인이 어렵다’는 이용자 불만이 적지 않았다. 그 사이 대형 저축은행들은 자체 간편금융 앱으로 ‘대박’을 터뜨렸다. 출시 1년여 만에 앱을 통해 1조원어치의 예금을 모은 웰컴저축은행의 웰컴디지털뱅킹(웰뱅)이 대표적인 사례다.
중앙회는 SB톡톡 기능을 대폭 업그레이드하기로 했다. 지난해 말 회원사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했고, 10개월여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최근 SB톡톡 플러스를 내놨다.
SB톡톡 플러스는 저축은행들의 상품을 비교하거나 전체 계좌를 보여주는 ‘플랫폼’ 기능과 저축은행별로 계좌관리를 할 수 있는 ‘로그인’ 서비스를 함께 갖추고 있다. 앱 초기 화면에서 66개 저축은행의 예·적금과 대출 상품을 한눈에 보여준다는 게 특징이다. 로그인을 하면 저축은행별로 가입한 예금과 대출 상품 등을 조회하고 이체도 할 수 있다.
예·적금 비교 ’눈길‘
금융 소비자가 저축은행을 찾는 이유는 시중은행보다 비교적 높은 예·적금 금리를 주기 때문이다. 초기 ’상품검색’ 화면에선 66개 저축은행 예·적금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특판’ ‘최신순’ ‘위치’ ‘금리’ 등의 기준을 두고 분류를 해주는 게 특징이다. 영업 지역 규제가 있는 저축은행 특성상 시도별 분류를 통해 상품을 보여주기도 한다. 중앙회는 특히 ‘특판’ 탭에서 저축은행 간 경쟁이 활발해지면 상당한 고객 유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교직원공제회 계열 더케이저축은행은 온라인 금융 첫 가입자에게 최대 연 2.7%의 금리를 주는 정기예금, 연 3.1% 금리의 정기적금 특판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 자유입출금 계좌에 가입해보니 시중 금융 앱보다 절차가 복잡한 편이었다. 약관동의, 보안매체 등록, 주소 입력에 신분증도 사진으로 요구했다. 1원을 다른 은행의 계좌로 보낸 뒤 비밀번호 네 자리를 입력하는 절차도 거쳐야 했다.
고도화에 사활
로그인은 스마트폰에 등록된 지문으로 간편하게 가능했다. 6자리 핀번호, 보안카드, 공인인증서 등 시중에서 활용되는 모든 인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대출신청 및 대출 철회, 금리인하요구, 재증명서 발급 등의 금융 서비스를 모두 비대면으로 할 수 있다. 아직 간편 대출 등의 일부 기능은 옛 앱(SB톡톡)으로 안내하고 있지만, 조만간 구현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체크카드를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아직 롯데카드의 아임(I’m) 시리즈만 발급 가능했다.
아직 최고 수준의 금융 앱으로 평가하긴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66개 저축은행의 금융 서비스를 모두 붙이면서 편의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쉽지 않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여겨졌다. 중앙회 관계자는 “개발진이 아직 후속 기능을 붙이고 있고, 24시간 콜센터를 운영하는 등 고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계”라며 “시중은행의 금융 앱 못지않은 사용자와 거래건수를 달성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