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美, 北 제재해제·안전보장에 열린 자세로 협상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미실무협상 재개가 가장 중요…안전보장에 대한 北 구상, 한미가 공조해 분석"
"비핵화 목표 같지만 어떻게 도달할지 이견…로드맵 그리는게 실무협상 최대 과제"
"文대통령, 중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역할 확대 의지 천명할 것"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북한이 얘기하고 있는 안전보장 문제나 제재해제 문제 등 모든 것에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한다는 것이 미국 측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는 강 장관은 이날 뉴욕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하면서 '작년 유엔총회 계기 한미정상회담에서는 종전선언이나 북한 제재완화 등이 주로 논의됐는데, 올해 한미정상회담에서도 이런 사안들이 의제가 될 수 있나'라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강 장관은 "지금으로서 제일 중요한 것은 북미 간 비핵화 실무협상이 재개되는 것"이라며 "하노이 회담 후 실질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실무협상 테이블에서 북미가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그동안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는지나 북미 간 협상이 다시 이뤄진다면 어떤 부분이 중요하게 부각될지 여러 분석이 있었고, 이런 이슈를 두고 한미 간에도 많이 공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하노이 회담 이후 이런저런 대화를 통해 안전보장에 대한 얘기를 많이 했다.
안전보장에 대한 북한의 구상이 무엇인지에 대해 (한미가) 공조를 통해 분석 중"이라며 "협상이 시작되면 어떤 경과를 거쳐 나갈 것인지 공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비아식 모델(선(先) 핵폐기-후(後) 보상)을 비판하는 것이 한미 정상의 논의에서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는 "회담 결과는 끝나봐야 알 수 있지만,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답했다.
'하노이 노딜의 원인이 북미 간 비핵화 정의의 차이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이후 이견이 많이 좁혀지고 있나'라는 질문에는 "비핵화의 정의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정의한 비핵화, 우리가 얘기하는 완전한 비핵화, (미국이 얘기하는)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 등이 있다"며 "(이 개념들이) 목표에 대해서는 같다"고 답했다.
아울러 "(목표지점에 대한 정의는 같지만) 거기까지 어떻게 도달할 것인가, 로드맵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에 이견이 있는 것"이라며 "(북미) 실무협상에서 로드맵을 만드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강 장관은 유엔총회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지지 기반을 다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강 장관은 "(이번 총회는) 문 대통령이 미국과 호주, 폴란드, 덴마크 정상을 만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 우리의 주요 정책에 대한 상대국의 이해를 높이고 주요 우방국과 협력 및 지지기반을 다지는 유용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유엔은 국제사회와 더불어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최적의 장"이라면서 "다자주의 대화로 세계 평화를 실현하려는 유엔 정신이 가장 절실히 요청되는 곳이 한반도"라고 언급했다.
강 장관은 문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3년 연속 유엔총회에 참석한 것을 두고 "이제는 우리 정부도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기여에 맞는 책임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올해 우리의 유엔 재정기여도가 10위권에 접어든 만큼 그에 걸맞은 책임도 커졌다"면서 "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는 규범 형성에 우리 목소리를 내고 유엔에서의 역할과 협력을 더 심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강 장관은 "총회에서 문 대통령은 내년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 한국 개최, 2030년까지 ODA(공적개발원조) 2배 이상 확대, 2021년도 평화유지 장관회의 개최 발표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 대한 우리의 기여와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비핵화 목표 같지만 어떻게 도달할지 이견…로드맵 그리는게 실무협상 최대 과제"
"文대통령, 중견국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역할 확대 의지 천명할 것"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북미 간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북한이 얘기하고 있는 안전보장 문제나 제재해제 문제 등 모든 것에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한다는 것이 미국 측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는 강 장관은 이날 뉴욕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하면서 '작년 유엔총회 계기 한미정상회담에서는 종전선언이나 북한 제재완화 등이 주로 논의됐는데, 올해 한미정상회담에서도 이런 사안들이 의제가 될 수 있나'라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강 장관은 "지금으로서 제일 중요한 것은 북미 간 비핵화 실무협상이 재개되는 것"이라며 "하노이 회담 후 실질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실무협상 테이블에서 북미가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그동안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는지나 북미 간 협상이 다시 이뤄진다면 어떤 부분이 중요하게 부각될지 여러 분석이 있었고, 이런 이슈를 두고 한미 간에도 많이 공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하노이 회담 이후 이런저런 대화를 통해 안전보장에 대한 얘기를 많이 했다.
안전보장에 대한 북한의 구상이 무엇인지에 대해 (한미가) 공조를 통해 분석 중"이라며 "협상이 시작되면 어떤 경과를 거쳐 나갈 것인지 공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비아식 모델(선(先) 핵폐기-후(後) 보상)을 비판하는 것이 한미 정상의 논의에서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는 "회담 결과는 끝나봐야 알 수 있지만,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답했다.
'하노이 노딜의 원인이 북미 간 비핵화 정의의 차이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이후 이견이 많이 좁혀지고 있나'라는 질문에는 "비핵화의 정의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정의한 비핵화, 우리가 얘기하는 완전한 비핵화, (미국이 얘기하는)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 등이 있다"며 "(이 개념들이) 목표에 대해서는 같다"고 답했다.
아울러 "(목표지점에 대한 정의는 같지만) 거기까지 어떻게 도달할 것인가, 로드맵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에 이견이 있는 것"이라며 "(북미) 실무협상에서 로드맵을 만드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강 장관은 유엔총회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지지 기반을 다지는 자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강 장관은 "(이번 총회는) 문 대통령이 미국과 호주, 폴란드, 덴마크 정상을 만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 우리의 주요 정책에 대한 상대국의 이해를 높이고 주요 우방국과 협력 및 지지기반을 다지는 유용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유엔은 국제사회와 더불어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최적의 장"이라면서 "다자주의 대화로 세계 평화를 실현하려는 유엔 정신이 가장 절실히 요청되는 곳이 한반도"라고 언급했다.
강 장관은 문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3년 연속 유엔총회에 참석한 것을 두고 "이제는 우리 정부도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기여에 맞는 책임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올해 우리의 유엔 재정기여도가 10위권에 접어든 만큼 그에 걸맞은 책임도 커졌다"면서 "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는 규범 형성에 우리 목소리를 내고 유엔에서의 역할과 협력을 더 심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강 장관은 "총회에서 문 대통령은 내년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 한국 개최, 2030년까지 ODA(공적개발원조) 2배 이상 확대, 2021년도 평화유지 장관회의 개최 발표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 대한 우리의 기여와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