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美, 北의 안전보장·제재해제 관해 열린 자세로 협상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 장관은 22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요구하는) 안전보장 문제라든가 제재해제 문제 등을 열린 자세로 협상에 임한다는 미측의 기본입장을 우리가 같이 공유하면서 협상이 시작됐을 때 어떤 결과를 향해서 나갈 것인지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비아식 모델(선(先) 핵폐기-후(後) 보상)을 비판하는 것이 한미 정상의 논의에서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느냐’라는 물음에 “회담 결과는 끝나봐야 알 수 있지만,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긍정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비핵화의 정의에 관해선 “비핵화 정의는 유엔 안보리 결의상 정의가 있고, 미국이 말하는 FFVD(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가 있고, 우리는 ‘완전한 비핵화’”라며 “목표에 대한 정의는 같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취임 후 세 번째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나서는 문 대통령은 북한의 체제 보장 등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강 장관은 “우리 정부도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기여에 걸맞는 책임과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며 문 대통령의 3년 연속 유엔총회 참석 의미를 소개했다. “특히 금년은 유엔에 대한 우리의 재정 기여가 10위권에 접어든 해”라는 말도 덧붙였다.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역할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전세계 지도자들의 지지를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강 장관은 이에 “국제사회에서 신뢰받는 중견국으로서 우리의 위상과 입지를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뉴욕=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