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장세…"중위험 중수익 펀드가 대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변동성은 줄이고 은행 금리에
'플러스 알파' 수익률 기대
운용사들, 상품 출시 잇따라
'플러스 알파' 수익률 기대
운용사들, 상품 출시 잇따라
이달 들어 국내 증시에 다소 온기가 돌고 있지만 여전히 미·중 무역분쟁, 한·일 경제전쟁 등 불확실성이 적지 않아 좀처럼 상승 탄력을 받지 못한 채 불안한 장세가 계속되는 모습이다. 자산운용업계에서도 이처럼 불안해하는 투자자 수요를 잡기 위해 변동성은 낮추되 은행 금리에다 ‘플러스 알파’ 수익률까지 기대할 수 있는 ‘중위험 중수익’ 펀드를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출시 잇따르는 ‘중위험 중수익’ 펀드
KB자산운용은 23일 회사에서 운용 중인 다양한 중수익 관련 모펀드에 분산 투자해 변동성을 줄인 ‘KB베스트모아드림’ 펀드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회사 운용 모펀드(총 12개)를 ‘포커스’(7개)와 ‘엣지’(5개)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을 조정하는 방식을 쓴다. 포커스는 이자 배당 등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인컴펀드나 부동산 등 대체자산 펀드로 구성돼 시장과 관련성이 낮다. 엣지는 반대로 국내외 주식, 채권 등 시장 영향이 큰 자산으로 이뤄져 강세장에서 플러스 알파 수익을 추구한다. KB운용 관계자는 “모펀드를 활용해 포트폴리오 효과를 내는 일반적인 재간접펀드는 운용보수가 이중으로 부과되지만 KB베스트모아드림펀드는 자체 모펀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 수수료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KB운용은 지난 11일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의 리츠(부동산투자회사)에 분산 투자하는 ‘KB글로벌코어리츠’ 펀드를 선보이기도 했다. 이 펀드도 특정 국가나 권역에 집중하기보다 미국(50%) 유럽(20%) 일본(8%) 호주(7%) 등으로 다각화함으로써 글로벌 포트폴리오 효과를 통해 변동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다.
다른 운용사들도 잇따라 이 같은 중위험 중수익 펀드를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2일 미국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ETF)에 분산 투자하는 ‘신한BNPP글로벌밸런스EMP’ 펀드를 선보였다. 미국 국채, 글로벌 우량 회사채, 미국 달러, 금, 저변동성 주식, 글로벌 기업 주식 등 6개 핵심 자산에 골고루 투자한다. 한 번의 펀드 가입만으로 다양한 글로벌 자산에 투자하고, 전문가의 자산 배분 전략에 따라 알아서 리밸런싱(편입 비중 재조정)이 이뤄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도 이달 초 회사채, 금융채 등 우량 채권과 국공채 등에 분산 투자하는 ‘한국투자중기우량채(채권)’ 펀드를 출시했으며 얼라이언스번스틴(AB)자산운용 역시 지난달 말 미국 국채 및 하이일드 채권 등 달러 표시 채권에 투자하는 ‘AB미국인컴’ 펀드를 선보였다.
“살아나는 위험 선호…대세는 아냐”
전문가들은 이 같은 중위험 중수익 펀드가 향후 대세로 자리잡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의견을 내놓고 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과거에도 약세장일 때마다 이 같은 글로벌 자산 배분 및 채권형 펀드가 주목받았지만 증시가 한 번 상승 탄력을 받으면 결국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자금이 대거 이탈하곤 했다”며 “미·중 무역분쟁이나 한·일 경제전쟁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적지 않아 당분간은 빛을 보겠지만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최근 글로벌 증시 반등장이 펼쳐지자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북미 주식형 펀드에 지난 2주간 383억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출시 잇따르는 ‘중위험 중수익’ 펀드
KB자산운용은 23일 회사에서 운용 중인 다양한 중수익 관련 모펀드에 분산 투자해 변동성을 줄인 ‘KB베스트모아드림’ 펀드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회사 운용 모펀드(총 12개)를 ‘포커스’(7개)와 ‘엣지’(5개)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눠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을 조정하는 방식을 쓴다. 포커스는 이자 배당 등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인컴펀드나 부동산 등 대체자산 펀드로 구성돼 시장과 관련성이 낮다. 엣지는 반대로 국내외 주식, 채권 등 시장 영향이 큰 자산으로 이뤄져 강세장에서 플러스 알파 수익을 추구한다. KB운용 관계자는 “모펀드를 활용해 포트폴리오 효과를 내는 일반적인 재간접펀드는 운용보수가 이중으로 부과되지만 KB베스트모아드림펀드는 자체 모펀드를 활용하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 수수료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KB운용은 지난 11일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의 리츠(부동산투자회사)에 분산 투자하는 ‘KB글로벌코어리츠’ 펀드를 선보이기도 했다. 이 펀드도 특정 국가나 권역에 집중하기보다 미국(50%) 유럽(20%) 일본(8%) 호주(7%) 등으로 다각화함으로써 글로벌 포트폴리오 효과를 통해 변동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평가다.
다른 운용사들도 잇따라 이 같은 중위험 중수익 펀드를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2일 미국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ETF)에 분산 투자하는 ‘신한BNPP글로벌밸런스EMP’ 펀드를 선보였다. 미국 국채, 글로벌 우량 회사채, 미국 달러, 금, 저변동성 주식, 글로벌 기업 주식 등 6개 핵심 자산에 골고루 투자한다. 한 번의 펀드 가입만으로 다양한 글로벌 자산에 투자하고, 전문가의 자산 배분 전략에 따라 알아서 리밸런싱(편입 비중 재조정)이 이뤄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도 이달 초 회사채, 금융채 등 우량 채권과 국공채 등에 분산 투자하는 ‘한국투자중기우량채(채권)’ 펀드를 출시했으며 얼라이언스번스틴(AB)자산운용 역시 지난달 말 미국 국채 및 하이일드 채권 등 달러 표시 채권에 투자하는 ‘AB미국인컴’ 펀드를 선보였다.
“살아나는 위험 선호…대세는 아냐”
전문가들은 이 같은 중위험 중수익 펀드가 향후 대세로 자리잡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의견을 내놓고 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과거에도 약세장일 때마다 이 같은 글로벌 자산 배분 및 채권형 펀드가 주목받았지만 증시가 한 번 상승 탄력을 받으면 결국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자금이 대거 이탈하곤 했다”며 “미·중 무역분쟁이나 한·일 경제전쟁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적지 않아 당분간은 빛을 보겠지만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최근 글로벌 증시 반등장이 펼쳐지자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북미 주식형 펀드에 지난 2주간 383억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