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인접국에 영향…日정부 충분히 설명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엄재식 원안위원장 기자간담회…"서울반도체 피폭사고 조사도 진행 중"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장은 24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는 인접국인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며 "(일본 정부가) 충분한 설명과 소통 없이 진행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AEA(국제원자력기구)도 우리가 제기하는 문제와 우려 등을 이해한다는 입장이고 이 기구도 (해양 방류 문제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엄 위원장은 16∼2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63차 IAEA 총회에 참석했다.
총회에서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기조연설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환경 영향 우려를 전하며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을 요청했고, 일본 정부는 이런 우려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며 반박했다.
엄 위원장은 이에 대해 "원전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과학적인 원리나 근거가 전부가 아니다"라며 "오염수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 세대에 주는 짐은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사성 폐기물이나 오염 물질의 배출·처리 등에 있어서는 국제적으로 '정당화의 원칙', '최적화의 원칙', '선량한도의 원칙' 세 가지가 있는데,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방류를 강행할 때 대처법을 묻자 엄 위원장은 "공식적으로 결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결정 과정에서 외교적인 노력과 양자 협의 등을 통해 우리가 우려하는 방식으로 결정하지 않게, 사전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부처가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서 노력하고 있는 거로 알고 있다.
우리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혹시라도 일본이 해양방류를 결정하면 우리는 다시 해양방류의 부당성을 얘기해야 할 듯하고, 해양 방사능 관리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과학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엄 위원장은 또 서울반도체 방사선 피폭사고에 대해서는 "추가 피폭 우려와 법을 위반하고 작업이 진행됐는가에 대해 약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며 "조사가 끝나면 분명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7월 서울반도체에서는 반도체 결함검사용 엑스선(X-ray) 발생장치를 사용하던 직원들이 피폭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안위가 지난달 조사를 진행한 결과 총 7명의 피폭자를 확인했으며, 이 중 2명은 손가락 통증과 변색 등 피폭 증상을 보였다.
이에 원안위는 범위를 확대해 최근 3년간 서울반도체와 협력업체에서 이 장비를 쓴 적이 있는 직원과 퇴사자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24일에는 피폭 피해자의 가족이 관련 설비 사용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대책을 세워달라는 내용의 글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리기도 했다.
아울러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생활제품이 발견되는 '라돈 사태'의 완결 시점에 대해서는 '확정하기는 어렵다'고도 전했다.
엄 위원장은 "찾아서 수거조치를 하고 있지만 완결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소비자들에게 측정 관련 기기를 제공하고 추가조사 등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장은 24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는 인접국인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며 "(일본 정부가) 충분한 설명과 소통 없이 진행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AEA(국제원자력기구)도 우리가 제기하는 문제와 우려 등을 이해한다는 입장이고 이 기구도 (해양 방류 문제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엄 위원장은 16∼2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63차 IAEA 총회에 참석했다.
총회에서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기조연설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류 가능성과 이에 따른 환경 영향 우려를 전하며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을 요청했고, 일본 정부는 이런 우려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며 반박했다.
엄 위원장은 이에 대해 "원전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과학적인 원리나 근거가 전부가 아니다"라며 "오염수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 세대에 주는 짐은 분명히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사성 폐기물이나 오염 물질의 배출·처리 등에 있어서는 국제적으로 '정당화의 원칙', '최적화의 원칙', '선량한도의 원칙' 세 가지가 있는데,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방류를 강행할 때 대처법을 묻자 엄 위원장은 "공식적으로 결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결정 과정에서 외교적인 노력과 양자 협의 등을 통해 우리가 우려하는 방식으로 결정하지 않게, 사전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부처가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서 노력하고 있는 거로 알고 있다.
우리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혹시라도 일본이 해양방류를 결정하면 우리는 다시 해양방류의 부당성을 얘기해야 할 듯하고, 해양 방사능 관리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과학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엄 위원장은 또 서울반도체 방사선 피폭사고에 대해서는 "추가 피폭 우려와 법을 위반하고 작업이 진행됐는가에 대해 약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며 "조사가 끝나면 분명하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7월 서울반도체에서는 반도체 결함검사용 엑스선(X-ray) 발생장치를 사용하던 직원들이 피폭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안위가 지난달 조사를 진행한 결과 총 7명의 피폭자를 확인했으며, 이 중 2명은 손가락 통증과 변색 등 피폭 증상을 보였다.
이에 원안위는 범위를 확대해 최근 3년간 서울반도체와 협력업체에서 이 장비를 쓴 적이 있는 직원과 퇴사자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24일에는 피폭 피해자의 가족이 관련 설비 사용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대책을 세워달라는 내용의 글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리기도 했다.
아울러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생활제품이 발견되는 '라돈 사태'의 완결 시점에 대해서는 '확정하기는 어렵다'고도 전했다.
엄 위원장은 "찾아서 수거조치를 하고 있지만 완결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소비자들에게 측정 관련 기기를 제공하고 추가조사 등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