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지원' 차세대 부품·소재 연구, 국제학술지 잇단 게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이경진 교수 연구기술, 네이처 발표
"자성반도체 소비전력 95% 절감"
이경진 교수 연구기술, 네이처 발표
"자성반도체 소비전력 95% 절감"
삼성전자의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은 차세대 부품·소재 연구과제가 최근 세계적 학술지에 잇따라 게재됐다.
2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경진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차세대 자성반도체(MDW-MRAM)의 소비전력 절감 기술이 최근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됐다.
2017년 12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이 연구는 차세대 자성반도체 소비전력을 기존 대비 95% 이상 절감할 수 있는 돌파구를 제시, 최대 난제로 꼽혀온 높은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M램은 비휘발성, 고밀도, 저전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특성이 있어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발전 과정에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윤원섭 성균관대 교수와 강용묵 고려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2차 전지 충전용량 한계 극복 기술'은 이달 초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를 통해 소개됐다.
앞서 2017년 6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이 연구는 양극 소재의 성질상 충전용량을 100% 사용할 수 없는 2차 전지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3년 시작된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등 3개 연구 분야에서 매년 3차례(상·하반기 자유공모, 연 1회 지정 테마) 과제를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 총 534개 과제에 6852억원이 지원됐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2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경진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차세대 자성반도체(MDW-MRAM)의 소비전력 절감 기술이 최근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됐다.
2017년 12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이 연구는 차세대 자성반도체 소비전력을 기존 대비 95% 이상 절감할 수 있는 돌파구를 제시, 최대 난제로 꼽혀온 높은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M램은 비휘발성, 고밀도, 저전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특성이 있어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발전 과정에서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윤원섭 성균관대 교수와 강용묵 고려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2차 전지 충전용량 한계 극복 기술'은 이달 초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를 통해 소개됐다.
앞서 2017년 6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이 연구는 양극 소재의 성질상 충전용량을 100% 사용할 수 없는 2차 전지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3년 시작된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정보통신기술(ICT) 등 3개 연구 분야에서 매년 3차례(상·하반기 자유공모, 연 1회 지정 테마) 과제를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 총 534개 과제에 6852억원이 지원됐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