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외면' 아베 "분쟁지역 성폭력 방지·피해자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S 성노예였던 노벨평화상 수상자 면담…국제사회 향한 '홍보' 해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슬람국가(IS)의 성노예로 고초를 겪은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만나 일본이 분쟁 지역 성폭력 방지와 피해자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교도통신과 산케이(産經)신문 등 일본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유엔 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아베 총리는 24일(현지시간) 작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나디아 무라드 씨를 면담했다.
그는 무라드 씨에게 일본이 "분쟁 상황의 성폭력 방지와 피해 여성 지원에 계속 나설 것"이라면서 "IS로부터 해방된 지역의 부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라크 소수민족 야지디족 출신인 무라드 씨는 2014년 IS의 공격으로 가족을 잃고 성노예로 끌려갔다가 3개월 만에 탈출했으며 이후 국제 사회에 IS의 만행을 고발한 인물이다. 아베 총리는 분쟁 지역 성폭력 실태를 폭로한 무라드 씨를 만나서 일본이 여성의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국제 사회에 홍보하고자 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아베 정권은 전시 성폭력의 대표적인 사례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피해자의 의사를 반영해 해결할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면 '분쟁 중 성폭력을 방지하고 피해자를 지원하겠다'는 메시지가 일본의 역사적 과오를 덮기 위한 슬로건으로 활용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간 아베 총리는 '정부 발견 자료 가운데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보여주는 것과 같은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나 피해자 인권 침해 등에는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는 2014년 유엔 총회 연설에서 "20세기에는 분쟁 상황에서 여성의 명예와 존엄이 심각하게 훼손된 역사가 있었다"며 일본이 분쟁 상황 속의 성폭력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세계 각지에서 상처받은 이들 여성의 자립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아베 총리가 이런 입장을 밝히기 약 3개월 전에 '군(軍)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1993년 발표) 작성 과정에서 한일 정부 간의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결론을 담은 고노담화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고노 담화 검증을 계기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움직임이 일본에서 확산했으며 우파 세력은 고노담화를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교도통신과 산케이(産經)신문 등 일본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유엔 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아베 총리는 24일(현지시간) 작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나디아 무라드 씨를 면담했다.
그는 무라드 씨에게 일본이 "분쟁 상황의 성폭력 방지와 피해 여성 지원에 계속 나설 것"이라면서 "IS로부터 해방된 지역의 부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라크 소수민족 야지디족 출신인 무라드 씨는 2014년 IS의 공격으로 가족을 잃고 성노예로 끌려갔다가 3개월 만에 탈출했으며 이후 국제 사회에 IS의 만행을 고발한 인물이다. 아베 총리는 분쟁 지역 성폭력 실태를 폭로한 무라드 씨를 만나서 일본이 여성의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국제 사회에 홍보하고자 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아베 정권은 전시 성폭력의 대표적인 사례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피해자의 의사를 반영해 해결할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면 '분쟁 중 성폭력을 방지하고 피해자를 지원하겠다'는 메시지가 일본의 역사적 과오를 덮기 위한 슬로건으로 활용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간 아베 총리는 '정부 발견 자료 가운데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이른바 강제연행을 보여주는 것과 같은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나 피해자 인권 침해 등에는 주목하지는 않았다.
그는 2014년 유엔 총회 연설에서 "20세기에는 분쟁 상황에서 여성의 명예와 존엄이 심각하게 훼손된 역사가 있었다"며 일본이 분쟁 상황 속의 성폭력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세계 각지에서 상처받은 이들 여성의 자립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아베 총리가 이런 입장을 밝히기 약 3개월 전에 '군(軍)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1993년 발표) 작성 과정에서 한일 정부 간의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결론을 담은 고노담화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고노 담화 검증을 계기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움직임이 일본에서 확산했으며 우파 세력은 고노담화를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