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한한령 해제를 계획하는 건 크게 보면 지금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외국 기업의 탈(脫)중국 움직임이 가속화하자 이들을 붙잡으려는 전략의 일환인 측면도 있다. 실제 중국 정부는 외국계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지난 10일 리창 총리가 주재한 상무위원회에서 ‘2025년 외자 안정 행동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국무원은 “외자기업은 고용과 수출 안정화, 산업 업그레이드 촉진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외자기업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조업 영역의 외자 진입 제한 철폐를 전면 이행해야 한다”며 “국가 서비스업 개방 확대 종합 시범지역을 최적화하고, 외국 기업 투자 장려 산업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정부 조달 등에서 중국 기업과 외자기업을 평등하게 대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내수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 및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면서 글로벌 기업이 앞다퉈 중국 외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해 중국 정부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국적 기업 사이에선 ‘중국 말고 어디든(Anything But China·ABC) 원칙’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중국 주재 미국상공회의소의 연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360명 중 30%는 생산기지 이전을 고려하거나 이미 시작했다고 했고, 기술 및 연구 개발 기업의 약 4분의 1은 공급망 이전에 들어갔다고 답했다.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총 8262억5000만위안(약 164조원)으로 2023년에 비해 27.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의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돌렸다.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선 실시를 요구하며 우회적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을 압박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한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와 정반대 입장을 취한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를 적국으로 간주해온 미국의 외교정책이 변곡점을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우크라 전쟁 시작하지 말았어야”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크라이나인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고 싶다면 먼저 오랫동안 선거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임기는 지난해 5월까지지만 전시 계엄령을 근거로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불법으로 임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대선을 실시해야 종전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러시아 측 입장과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국가에서도 이런 얘기가 나온다”고 덧붙였다.트럼프 대통령은 또 “당신(우크라이나인)들이 전쟁을 시작하지 말았어야 한다”라며 전쟁 발발의 책임을 우크라이나에 돌렸다.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추진해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했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났다는 러시아 측 논리와 비슷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숙한 협상가였다면 아주 적은 땅을 잃고 인명피해도 없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젤렌스키 정권의 정당성을 깎아내리기 위해 사실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협상에서 배제된 우크라이나가 드론으로 러시아 송유관을 타격했다.1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우크라이나 드론이 카스피 파이프라인 컨소시엄(CPC)의 주요 송유관을 통해 원유 수송을 해주는 펌프장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러시아에서 가장 큰 송유관 펌프장인 크로포트킨스카야가 포함됐다. 우크라이나 총참모부는 이번 공격을 인정하며 “러시아의 불법 전쟁을 뒷받침하는 에너지 인프라를 해체하기 위한 작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는 ‘무인기(드론) 전술’을 통해 러시아를 타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처럼 대규모 병력과 무기를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적 우위에 있는 드론 중심의 군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가볍고 저렴한 드론은 탱크, 탄약고, 지휘소, 에너지 시설 뿐만 아니라 군인을 겨냥한 표적 공격도 가능하다.유럽연합(EU) 외교 싱크탱크인 유럽외교협회(ECFR)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초만 해도 연내 드론 100만대 생산이 목표였지만 10월 400만대로 대폭 늘렸다. 현재 우크라이나에선 100여종의 드론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