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은 경제적 자해행위…美·日은 주택용보다 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력산업연구회 정책 세미나
정부 주도 무리한 에너지전환
과대보상 등 사회적 비용 유발
정부 주도 무리한 에너지전환
과대보상 등 사회적 비용 유발
![전력산업연구회가 26일 서울 엘타워에서 연 세미나에서 신중린 전 건국대 부총장(왼쪽 세 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김영우 기자 youngwoo@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909/AA.20591856.1.jpg)
26일 전력산업연구회는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한국경제신문사, 기간산업협의회, 민간발전협회 후원으로 ‘에너지 전환정책과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 방안’ 정책세미나를 열었다. 학계·산업계 등 전력산업 전문가들이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전력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대안을 논의했다.
기조발표에 나선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가동률이 떨어지면 한전의 재무구조가 더 나빠질 것”이라며 “부채가 쌓이고 있어 추후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정부와 한전은 산업용 심야전기 요금의 인상을 검토해왔다.
손 교수는 “여론에 덜 민감하다는 이유로 산업용 전기요금을 올리는 건 산업 자해행위와 다르지 않다”며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보다 훨씬 저렴한데, 한국은 지난 10년간 열 차례에 걸쳐 산업용 요금을 71% 인상해 주택용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 산업용 전기요금은 주택용보다 40%가량 저렴하다.
이날 토론회에선 종별 가격구조 격차가 근본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산업조직학회 추산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용 전기요금의 원가 회수율은 97%에 달한 반면 농사용은 37%, 주택용은 82%에 불과했다. 이승훈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을 만들어놓고 요금 인상이 없을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안현실 한경 논설위원은 “태양광 등 친환경 전기에너지 시스템은 정부가 아니라 시장 주도로 추진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과대보상 등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