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업투자도 출산도 '重症 의욕상실'…정부, 결자해지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솟는 노동비용과 세금, 규제에 기업들 '탈한국' 러시
미래 불안에 '3포 세대' 급증, 출산율 0명대 국가 추락
설계주의는 실패…자율·창의 북돋워 역동성 살려내야
미래 불안에 '3포 세대' 급증, 출산율 0명대 국가 추락
설계주의는 실패…자율·창의 북돋워 역동성 살려내야
우리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액이 두 분기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는 등 자본의 해외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집계한 올 2분기(4~6월) 해외직접투자액은 1년 전보다 13.3% 늘어난 150억1000만달러로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38년 만의 최대치였던 올 1분기(1~3월) 해외직접투자액(141억달러)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이에 반해 국내외 기업들의 국내 투자는 급감하고 있다. 국내 총투자 금액은 올 2분기 149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0.4% 감소했다. 작년 2분기부터 다섯 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외국인의 올 상반기 국내 직접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45.2% 줄어든 56억1000만달러에 그쳤다.
국내외 기업이 한국 투자를 기피하는 이유는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정부·여당이 친(親)노조·반(反)기업 정책을 밀어붙여 투자 여건과 경영 환경이 급속히 나빠졌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감세 등 기업 기(氣)살리기 경쟁을 벌이는데 한국만 거꾸로 가고 있다. 한국은 주요국 중 유일하게 법인세를 올렸다. 최저임금을 2년 새 29%나 인상하고 주 52시간 근로제를 강제하고 있다.
산업 안전과 화학물질 관리를 이유로 툭하면 공장을 세우고 기업인을 감옥에 넣을 수 있는 각종 법안도 통과시켰다. 지지세력의 눈치를 보느라 원격의료와 공유경제 서비스 등 신(新)산업에 절실한 규제혁신은 거의 손을 놓고 있다. 강성노조는 법 위에 군림하면서 정부 정책을 좌지우지한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투자와 고용을 늘릴 수 있겠는가.
기업들의 ‘한국 탈출’은 경기불황과 취업난을 더 악화시켜 대한민국을 짊어질 미래세대를 좌절시키고 있다. “두드려도 안 열린다”며 낙담해 최근 1년간 구직활동조차 단념한 ‘취업포기자’가 54만4238명(상반기 월평균)에 이른다. 연애·결혼·출산의 세 가지를 포기하거나 미루는 ‘3포(三抛) 세대’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이 0.98명으로 세계에서 유일한 ‘출산율 0명대 국가’로 전락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대로 가다간 머지않아 ‘국가 소멸’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급속한 고령화와 맞물린 2030세대의 결혼과 출산 기피는 가뜩이나 저물가·저성장으로 대변되는 ‘일본식 불황’에 대한 우려가 높은 우리 경제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키고 재정과 복지 등 국가 정책 다방면에 큰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가 쏟아부은 ‘저출산 대책 예산’이 150조원을 넘지만 상황은 악화일로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최고의 ‘청년 대책’임을 감안해 육아지원, 여성과 노인 인력 활용 등 기존 정책을 뛰어넘는 종합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
기업의 투자기피와 이로 인한 미래세대의 심각한 취업난과 저출산 등은 국가의 토대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라는 점에서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정부·여당은 현실을 외면한 탁상공론식 설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무엇이 문제의 근원인지를 인식하고 하루빨리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기업의 자율과 창의를 북돋워 시장경제의 역동성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이야말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다.
이에 반해 국내외 기업들의 국내 투자는 급감하고 있다. 국내 총투자 금액은 올 2분기 149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0.4% 감소했다. 작년 2분기부터 다섯 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외국인의 올 상반기 국내 직접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45.2% 줄어든 56억1000만달러에 그쳤다.
국내외 기업이 한국 투자를 기피하는 이유는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정부·여당이 친(親)노조·반(反)기업 정책을 밀어붙여 투자 여건과 경영 환경이 급속히 나빠졌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감세 등 기업 기(氣)살리기 경쟁을 벌이는데 한국만 거꾸로 가고 있다. 한국은 주요국 중 유일하게 법인세를 올렸다. 최저임금을 2년 새 29%나 인상하고 주 52시간 근로제를 강제하고 있다.
산업 안전과 화학물질 관리를 이유로 툭하면 공장을 세우고 기업인을 감옥에 넣을 수 있는 각종 법안도 통과시켰다. 지지세력의 눈치를 보느라 원격의료와 공유경제 서비스 등 신(新)산업에 절실한 규제혁신은 거의 손을 놓고 있다. 강성노조는 법 위에 군림하면서 정부 정책을 좌지우지한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투자와 고용을 늘릴 수 있겠는가.
기업들의 ‘한국 탈출’은 경기불황과 취업난을 더 악화시켜 대한민국을 짊어질 미래세대를 좌절시키고 있다. “두드려도 안 열린다”며 낙담해 최근 1년간 구직활동조차 단념한 ‘취업포기자’가 54만4238명(상반기 월평균)에 이른다. 연애·결혼·출산의 세 가지를 포기하거나 미루는 ‘3포(三抛) 세대’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 수)이 0.98명으로 세계에서 유일한 ‘출산율 0명대 국가’로 전락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대로 가다간 머지않아 ‘국가 소멸’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급속한 고령화와 맞물린 2030세대의 결혼과 출산 기피는 가뜩이나 저물가·저성장으로 대변되는 ‘일본식 불황’에 대한 우려가 높은 우리 경제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생산연령인구 감소는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키고 재정과 복지 등 국가 정책 다방면에 큰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가 쏟아부은 ‘저출산 대책 예산’이 150조원을 넘지만 상황은 악화일로다.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최고의 ‘청년 대책’임을 감안해 육아지원, 여성과 노인 인력 활용 등 기존 정책을 뛰어넘는 종합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
기업의 투자기피와 이로 인한 미래세대의 심각한 취업난과 저출산 등은 국가의 토대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라는 점에서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정부·여당은 현실을 외면한 탁상공론식 설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무엇이 문제의 근원인지를 인식하고 하루빨리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기업의 자율과 창의를 북돋워 시장경제의 역동성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이야말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