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는 자산가격 하락 수반…일본 등 일부국가만 해당"
한은 "소비자물가 단기 하락 디플레와 다르다…곧 반등"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의 단기 하락 현상이 해외 주요국 사례에서 적지 않게 관찰되지만, 물가 전반이 장기간 하락하는 디플레이션과는 뚜렷이 구분된다고 30일 밝혔다.

한은은 이날 '주요국 물가 하락기의 특징'을 분석한 보도자료에서 "소비자물가지수 하락은 많은 국가에서 적지 않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단기간 내에 상승으로 전환했다"며 이처럼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과 홍콩, 싱가포르, 태국, 대만, 베트남 등 물가가 하락했던 적이 있는 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물가지수를 분석한 결과에서 1990년 1분기∼올해 2분기 중 소비자물가지수의 하락은 총 356회(분기 기준) 발생했다.

일본 등 일부 국가가 평균치를 끌어올린 측면이 있지만, 이들 조사대상국이 물가 하락을 경험한 평균 기간은 전체 대상시기의 7.4%에 이른다.

이런 물가하락기는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위기,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2010년대 중반 유가 급락기를 전후해 많이 발생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중간값 기준으로 보면 물가 하락 기간은 대체로 2분기가량 지속했고 물가 하락 폭은 -0.5% 수준이었다.

대체로 볼 때 물가 하락 기간이 길지 않고 하락 수준도 제한적이었다는 게 한은은 판단이다.

한은은 "물가지수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가격 하락으로 정의되는 디플레이션 현상은 일본 등 일부 국가에 국한됐다"며 "디플레이션 현상에는 대부분 자산가격 조정이 수반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크게 낮아졌지만, 이는 지난해의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았기 때문에 발생한 기저효과 때문"이라며 "연말에는 이런 효과가 사라지면서 물가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통계청은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이 0.0%라고 발표했다.

소수점을 늘려보면 0.04% 하락해 1965년 통계집계 개시 후 사상 처음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물가 수준을 고려할 때 이런 소비자물가 하락 현상은 9∼10월에도 지속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