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신문 "'협조노선 포기' 의미…국가주의 강화가 홍콩·대만 반발 초래"
"트럼프 이후의 미국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지난 5월부터 6월에 걸쳐 중국 정부와 산하 연구기관에서 트럼프 이후 미국에의 대처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여러 차례 열렸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일 복수의 중국 공산당 관계자의 말을 빌어 보도했다.
얼핏 중국을 흔들어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교체를 기대하고 벌인 토론회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게 공산당 관계자의 설명이다.
"트럼프가 재선되든 다른 사람이 후임자가 되든 중국을 위협으로 간주하는 미국의 입장은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그런 상황을 전제로 대미외교 정책을 마련하라는 지도부의 지시였다고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KR20191001122700073_02_i.jpg)
"대립을 피하고 상호 존중하자"며 주권과 영토, 정치체제 등 '핵심적 이익'에 대한 불간섭을 요구했으나 미국은 오히려 공세를 강화했다.
시 주석을 정점으로 하는 지도부의 지시는 협조노선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아사히는 풀이했다.
추이톈카이(崔天凱) 주미 중국대사는 9월17일 뉴욕 연설에서 "중미관계는 역사의 교차로에 서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이제 과거로는 돌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과제를 비공식적으로 논의한 8월 베이다이허(北戴河)회의에서 일부 참석자로부터 "대미 강경책은 시기상조"라는 신중론이 나왔으나 시 주석은 "단기적인 문제에는 타협하더라도 원칙은 양보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시 주석은 1930년대 공산당의 고난의 행군인 '장정(長征)'에 비유하면서 국내에 각오를 다질 것을 요구했다.
당 선전부는 1천300명의 기자를 동원, 2개월에 걸쳐 '장정 경로'를 더듬어 보는 특별 보도를 계속했다.
8월에 열린 마무리회의에서는 "장정 정신은 전진의 원동력이다.
중국 건국도 쉽지 않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시 주석의 지시가 전달됐다.
시 주석은 당의 지도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국가의 안정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국가주의적 색채 강화는 국제사회의 경계심을 일으키고 홍콩과 대만의 반발을 초래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