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서 대통령 지지율 높아 이력 내세우는 후보 많아
6개월∼1년 짧은 근무에 경력 쌓기용 지적, 불허 요구도 높아
민주당 총선 경선에 청와대 이력 불허 논의…유불리 셈법 분주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경선 여론조사에서 사용할 후보들의 경력에 대통령 직함이나 청와대 이력을 허용하지 않는 방안을 논의 중이어서 후보자들 사이에서 유불리를 놓고 셈법이 분주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은 호남에서 대통령(청와대) 직함이라는 프리미엄을 두고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일 광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최근 지역별 의원들과의 자리에서 "경선 때 청와대 이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중앙당 차원에서도 12월 17일 예비 후보 등록 기간까지 본격적으로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이름만을 뺄지, 청와대 이력까지 모두 뺄지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당원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경선 여론조사에서 후보들은 제한된 글자 수 안에 자신을 소개하는 문구를 넣는다.

한정된 말 안에 자신을 최대한 홍보해야 하므로 청와대 이력을 대표 경력으로 집어넣기도 한다.

특히 호남에서는 경선을 앞두고 후보들이 서로 자신을 소개하는 문구에 문 대통령의 이름을 경쟁적으로 넣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선거철마다 대통령의 이름이 포함된 이력을 문구에 허용할지 여부를 놓고 당내 논쟁이 일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는 이름 대신 '15대 대통령', '16대 대통령', '19대 대통령'으로 표현하는 방식까지 검토됐으나 일각의 거센 반발로 결국 전·현직 대통령의 이름을 넣도록 하되, 청와대 경력·장차관급 이상의 정부 경력으로 한정하기로 결론을 낸 바 있다.

지난 광주시장 선거에서는 이용섭 당시 후보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경력을 내걸어 대통령 문구를 빼야 한다는 요구가 있기도 했다.

논의가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청와대나 대통령 직속 위원회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예비 후보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청와대 경력이 없는 후보들은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에 불과한 경력을 내세워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없다며 논의를 적극 지지하고 있다.

지역 정가의 한 인사는 "청와대에서 짧게 근무하고 당에 기여한 것도 많지 않으면서 직함만으로 선거를 치르는 것에 경쟁력을 키우라는 일종의 메시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