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우리금융지주 등
이달 들어 일제히 주가 하락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으로 두 은행의 DLS·DLF에서 확정된 투자자 손실액은 각각 2008억원, 2174억원 수준이다. 배상 비율을 50%로 가정하더라도 예상 배상액은 각각 1000억~11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번 사태는 다른 시중은행에도 영향을 미쳐 은행권 전반의 비이자수익을 감소시킬 것으로 우려됐다. 전 연구원은 “우리 KEB하나 국민 신한 등 4대 시중은행의 DLS 판매 수익은 지난해 평균 1266억원으로 지주 세전이익의 2.0~4.1%를 차지했고 올 들어서도 7월 누적 기준으로 이미 1000억원을 넘는 등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판매 제한 등 제재가 내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도 은행의 주된 수익원인 주택담보대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전날 국토교통부는 분양가 상한제 보완 대책을 발표하면서 대출 규제 확대 방안을 추가로 내놨다.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의 개인사업자 가운데 임대사업자뿐 아니라 매매사업자에게도 LTV 40%를 적용하고 1주택자라도 고가주택에 대해서는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을 제한하는 등 부동산 금융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내용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