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경찰청, 본인인증 앱 '패스'에 운전면허증 담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앞으로 모바일로 운전면허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경찰청과 함께 공동 본인인증 브랜드 '패스(PASS)'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이영상 경찰청 교통국장, 김종호 도로교통공단 미래전략실장,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박수철 KT 금융플랫폼사업담당, 남승한 LG유플러스 e-Biz사업담당 등 각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통신3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획득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관련 임시허가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3사는 '패스'와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 연동 논의를 시작, 내년 1분기까지 고객이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업할 계획이다.
통신3사는 '패스' 이용자가 대면·비대면 환경에서 모두 간편하게 자신의 운전자격이나 신원을 증명하는 등 기존 실물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가진 서비스를 구상 중이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휴대전화 이용자가 '패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이용약관에 동의 후 실물 운전면허증을 등록하면 이용 가능하다.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표출되는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는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소유자의 운전자격 및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통신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강력하게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적용,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통신3사와 경찰청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가 교통안전 확립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공유차량·전동킥보드 서비스 같이 운전자격 확인이 필요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적용되면 개인정보 유출과 운전면허증 도용으로 인한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통신3사는 공유차량 서비스 사업자 '쏘카'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도입·적용을 적극 타진해 나갈 계획이다. 쏘카 이용자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로 본 인여부 확인과 운전자격을 증명하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는 명의도용이나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미국과 호주에서 이미 상용서비스 또는 시범사업 형태로 선보인 바 있다. 실물 운전면허증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 국내에서도 활성화될지 주목된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경찰청과 함께 공동 본인인증 브랜드 '패스(PASS)'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이영상 경찰청 교통국장, 김종호 도로교통공단 미래전략실장,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박수철 KT 금융플랫폼사업담당, 남승한 LG유플러스 e-Biz사업담당 등 각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통신3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획득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관련 임시허가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3사는 '패스'와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 연동 논의를 시작, 내년 1분기까지 고객이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업할 계획이다.
통신3사는 '패스' 이용자가 대면·비대면 환경에서 모두 간편하게 자신의 운전자격이나 신원을 증명하는 등 기존 실물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가진 서비스를 구상 중이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휴대전화 이용자가 '패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이용약관에 동의 후 실물 운전면허증을 등록하면 이용 가능하다.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표출되는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는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소유자의 운전자격 및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통신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강력하게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적용,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통신3사와 경찰청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가 교통안전 확립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공유차량·전동킥보드 서비스 같이 운전자격 확인이 필요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에 적용되면 개인정보 유출과 운전면허증 도용으로 인한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통신3사는 공유차량 서비스 사업자 '쏘카'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도입·적용을 적극 타진해 나갈 계획이다. 쏘카 이용자가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로 본 인여부 확인과 운전자격을 증명하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는 명의도용이나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미국과 호주에서 이미 상용서비스 또는 시범사업 형태로 선보인 바 있다. 실물 운전면허증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 국내에서도 활성화될지 주목된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