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 상스러운 글을 쓰려 하십니까>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200권이 넘는 우리 교과서들을 살펴본다. 그 속에서 시기별 한글의 변천 과정뿐 아니라 한글을 통해 지키려 한 민족정신의 흔적도 더듬어 볼 수 있다. 책은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가 잊고 있던 역사 뒤편의 모습을 과거에 편찬된 교과서를 기반으로 들춰본다. 언어학적 분석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 당시의 사회상과 함께 풀어내기에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시간의 순서대로 읽어가다 보면 조선사회에서 무시했고 조롱했던 한글이 어떻게 전국으로 퍼져나갔고 끈질긴 생명력을 갖게 됐는지, 나라가 위태롭고 혼돈스러운 시기에 한글이 말살될 위험에도 어떻게 억척스럽게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 그 한글의 힘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저자는 대한제국 시기에 발행한 최초의 근대 음악교과서인 ‘창가집’(1910년)과 수학교과서인 ‘정선산학’(1907년) 실업교과서인 ‘간이상업부기학’(1908년) 등 160여 권의 교과서를 통해 일본에 강요된 근대가 아니라 우리 민족 스스로가 달성하고자 했던 근대가 있었는지도 추적해간다. 대한제국에서 선교사 활동을 했던 밀러 부인이 집필한 초등학생용 지리교과서 ‘초학디지’(1907년) 경상남도편 마지막 부분엔 대마도가 한국의 영토로 기록돼 있는 대목도 눈길을 끈다. (정재흠 지음, 말모이, 296쪽, 1만8000원)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