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1천27억 투입해 자가통신망 4천237㎞ 구축·공공 와이파이 확대
IoT 통해 공유주차, 실종 방지 서비스…"실외 공공 공간 중심으로 설치"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사물인터넷 확대
2022년 서울 전역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가 깔리고, 공공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이용한 공유 주차·스마트 가로등·실종 방지 서비스 등이 확대된다.

서울시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3년(2020∼2022년)간 총 1천27억원을 투입해 시민들의 통신 기본권을 보장하고, 서울 전역에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우선 2022년까지 서울 전 지역에 총 4천237㎞에 이르는 자가통신망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를 구축한다.

자가통신망은 이동통신사의 회선을 빌리지 않고 공공이 직접 구축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행정업무나 기반시설 관리를 위해 기관별로 자가통신망을 구축한 사례는 있지만, 서울 같은 대도시 전역에 구축하는 것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렵다.

서울시는 시 본청과 25개 자치구, 동주민센터 등에 구축된 기존 자가통신망 2천883㎞에 추가로 1천354㎞를 설치해 통합 통신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자가통신망을 기반으로 복지시설, 마을버스, 공원 등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통신 범위를 현재 생활권 면적(326㎢)의 31%에서 100%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와이파이에 필요한 AP(무선송수신장치)를 현재 7천420개에서 2022년 2만3천750개로 늘린다.

또한, 최대 속도 9.6Gbps를 지원하는 와이파이의 최신 기술기준인 와이파이 6(WiFi 6)을 적용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사물인터넷 확대
공공 와이파이 확대의 주된 효과는 통신비 절감이다.

월 3만3천원의 이통사 기본요금제 이용자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평균 수준의 데이터(월 9.5GB)를 사용할 경우 한 달에 추가 요금 약 5만원을 아낄 수 있고, 서울시 이용자(612만명 기준) 전체로는 연간 3조8천776억원의 편익이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추정했다.

서울시는 '공공 사물인터넷(IoT) 망'도 서울 전역으로 확산한다.

자가통신망에 IoT 기지국(LoRa) 1천개를 설치해 IoT 센서를 활용한 공유 주차·스마트 가로등·치매 노인 및 아동 실종 방지 서비스를 서울 전역에서 시행한다.

아울러 자치구마다 방식이 다른 IoT 서비스 데이터 형식을 일원화해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스타트업이나 산학 연구기관에도 IoT 인프라를 지원한다.

서울시는 "대동맥에 해당하는 자가통신망과 모세혈관 같은 공공 와이파이 및 사물인터넷(IoT) 망이 구축되면 모든 사람과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초연결(Hyper-connected) 도시'가 완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가정이나 아파트 단지 등 사적 공간은 이번 계획에 포함돼 있지 않다"며 "기존 민간 통신사가 설치한 지역을 고려해 도로나 공원 등 실외 공공 공간 중심으로 와이파이를 설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원목 정책관은 "기존에 설치된 공공 와이파이 실태를 조사해 보니 노후화, 운영 과정의 문제 등 여러 이유로 성능이나 품질이 낮은 경우가 많았다"며 "기존 와이파이에 대한 운영을 개선해 실질적인 품질을 높이는 일도 병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