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회기동, 부산 대평동 등 전국 76곳 '도시재생 뉴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회기동과 부산 영도구 대평동을 포함해 전국 76곳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추진된다. 낙후 지역을 살리기 위한 목적이다. 서울 집값이 들썩이는 가운데 이번 선정 결과가 인근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부는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올해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76곳을 선정했다.
문재인 정부 주요 국정 과제의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낙후 도시를 살리는 작업으로, 유형에 따라 중·대규모의 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과 소규모의 일반근린형·주거정비지원형·우리동네살리기 등이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 중 대규모(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는 서울 청량리·회기동(바이오 허브), 부산 영도구 대평동(해양산업 혁신기지), 경남 거제 고현동(일자리 이음센터) 등 15곳이다.
이들 각 사업에는 국비가 최대 250억원 지원된다.
청량리·회기동 사업은 서울에서 처음 시행되는 대규모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다.
앞서 서울시는 과학기술계와 함께 홍릉 일대(49만7000㎡)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 계획(2020∼2025년)을 발표했는데, 이 사업이 도시재생 뉴딜 대상으로도 선정돼 총 사업비 4859억원 가운데 250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역시 '경제기반형'인 부산 영도구 대평동 사업(총 면적 48만㎡·사업비 1천966억원)의 목표는 기존 선박 수리·건조 산업을 고부가가치 선박 개조·제조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부산시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산도시공사 등과 함께 추진하며, 역시 국비 250억원이 투입된다.
조선 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는 경남 거제 고현동에는 취업·창업, 일자리 안내 등의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도시재생 복합기능 이음센터' 등이 들어선다. 19만3000㎡ 규모의 이 '중심시가지형' 뉴딜사업의 총 사업비는 1250억원(국비 150억원)이다.
아울러 정부는 경남 창원시 소계동을 비롯해 소규모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61곳도 뽑았다.
이들 지역에서는 낡은 저층 주거지 정비와 주차장·도서관·돌봄시설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건설이 진행된다. 국비 지원 규모는 뉴딜사업 형태에 따라 50억∼100억원이다.
앞으로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 성과관리지원 컨설팅단'을 구성, 이들 뉴딜사업 지역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성과도 관리한다. 아울러 뉴딜사업이 외지인의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동산 전문기관인 한국감정원과 함께 선정 지역과 인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감시)할 방침이다. 혹시라도 '외지인 투기' 수요가 몰려 청량리 등 해당 뉴딜사업 지역의 시장이 과열될 경우 아예 사업을 중단하거나 연기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이탁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지자체가 부동산 시장 관리에 소홀하거나 부동산 시장 과열이 우려되는 경우, 사업을 중단 또는 연기하고 다음 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도 불이익을 줄 것"이라며 "(뉴딜사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정부는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올해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76곳을 선정했다.
문재인 정부 주요 국정 과제의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낙후 도시를 살리는 작업으로, 유형에 따라 중·대규모의 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과 소규모의 일반근린형·주거정비지원형·우리동네살리기 등이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 중 대규모(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는 서울 청량리·회기동(바이오 허브), 부산 영도구 대평동(해양산업 혁신기지), 경남 거제 고현동(일자리 이음센터) 등 15곳이다.
이들 각 사업에는 국비가 최대 250억원 지원된다.
청량리·회기동 사업은 서울에서 처음 시행되는 대규모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다.
앞서 서울시는 과학기술계와 함께 홍릉 일대(49만7000㎡)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 계획(2020∼2025년)을 발표했는데, 이 사업이 도시재생 뉴딜 대상으로도 선정돼 총 사업비 4859억원 가운데 250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역시 '경제기반형'인 부산 영도구 대평동 사업(총 면적 48만㎡·사업비 1천966억원)의 목표는 기존 선박 수리·건조 산업을 고부가가치 선박 개조·제조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부산시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산도시공사 등과 함께 추진하며, 역시 국비 250억원이 투입된다.
조선 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는 경남 거제 고현동에는 취업·창업, 일자리 안내 등의 서비스를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도시재생 복합기능 이음센터' 등이 들어선다. 19만3000㎡ 규모의 이 '중심시가지형' 뉴딜사업의 총 사업비는 1250억원(국비 150억원)이다.
아울러 정부는 경남 창원시 소계동을 비롯해 소규모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61곳도 뽑았다.
이들 지역에서는 낡은 저층 주거지 정비와 주차장·도서관·돌봄시설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건설이 진행된다. 국비 지원 규모는 뉴딜사업 형태에 따라 50억∼100억원이다.
앞으로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 성과관리지원 컨설팅단'을 구성, 이들 뉴딜사업 지역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성과도 관리한다. 아울러 뉴딜사업이 외지인의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동산 전문기관인 한국감정원과 함께 선정 지역과 인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감시)할 방침이다. 혹시라도 '외지인 투기' 수요가 몰려 청량리 등 해당 뉴딜사업 지역의 시장이 과열될 경우 아예 사업을 중단하거나 연기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이탁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지자체가 부동산 시장 관리에 소홀하거나 부동산 시장 과열이 우려되는 경우, 사업을 중단 또는 연기하고 다음 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도 불이익을 줄 것"이라며 "(뉴딜사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