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간 주가 40% 떨어진 에너지 공기업들 [조재길의 경제산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지난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원전수출 금융지원 활성화 협약식에서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다섯번째),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세번째) 등 참여기관 대표들과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B.20701615.1.jpg)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한국전력공사 등 공기업(금융부문 제외)들의 적자 규모는 전년 대비 25배 늘어난 약 10조원을 기록했습니다. 한은이 2007년 통계를 내기 시작한 후 공공부문의 흑자가 감소한 건 작년이 처음이었지요.
코스피나 코스닥에 상장된 공기업의 투자자들에겐 그 피해가 직접적입니다. 배당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 손실도 눈덩이처럼 커지기 때문이죠. 지년 2년여 간 공기업 주가가 대부분 내리막길을 탔는데, 에너지 공기업의 경우 훨씬 심합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10일 한국전력 주가는 주당 4만3150원이었습니다. 지난 8일 기준 종가가 2만5450원이었으니, 2년 5개월동안 41% 하락한 겁니다. 같은 기간 코스피 하락률(-9.9%)과 비교하면 4~5배 더 떨어졌습니다.
한전KPS 주가는 -40.9%, 한전산업은 -24.7%,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8.0%, 한국가스공사는 -13.6% 각각 하락했습니다. 코스피 하락률을 크게 밑돌았지요. 공기업은 아니지만 탈원전 정책의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두산중공업 주가는 같은 기간 2만3750원에서 6420원으로 급전직하했습니다.
한전 등 일부 공기업의 소액주주들이 집단소송까지 검토하고 있는 배경입니다. 만약 과거 계획대로 한국남동발전 한국동서발전 등 한전 발전자회사들이 상장했더라면 피해 주주들이 훨씬 많았을 겁니다.
에너지 공기업들의 주가 급락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정부가 지금처럼 국제유가 상승 등 외부 변수에서만 찾는다면, 당분간 주가 회복이 요원할 것 같습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