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자동차·교통정보 '5G'로 잇는다…통신기반 자율협력주행 시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G-V2X 기반 일반도로 달리는 자율협력주행 시연
앱으로 자율차 호출…선행차량 정보 공유도
마곡 사이언스파크 일대, 자율협력주행 테스트베드 활용
"계열사 시너지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기대"
앱으로 자율차 호출…선행차량 정보 공유도
마곡 사이언스파크 일대, 자율협력주행 테스트베드 활용
"계열사 시너지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기대"
LG유플러스와 한양대 에이스랩(ACE Lab)이 선보인 자율주행 기술이 다수 차량과 서로 통신하며 달리는 '자율 협력' 주행으로 진화한다.
LG유플러스는 10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V2X 기반의 일반도로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5G-V2X는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기반 차량무선통신이다. 차량과 사물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차량 대 차량(V2V), 차량 대 기지국(V2I), 차량 대 보행자(V2P), 차량 대 네트워크(V2N) 등을 포함한다.
자율주행 시연은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 G80'을 이용했다. LG유플러스는 5G-V2X를 탑재한 상용차가 자율주행으로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를 달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차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 일반도로 2.5km 구간을 15분간 주행하며 6가지 핵심 기술을 선보였다.
△자율주행차 원격 호출 △선행차량 영상 전송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 △긴급차량 접근 알림 △비가시영역 '지오펜싱(지리적 울타리)' 대응 △다이나믹 맵(Dynamic Map) 기반 사고현장 회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날 시연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자율주행차를 탑승 지점으로 호출했다. 도로 안전확보 차원에서 '원격 호출'에 예상 밖의 시간이 소요됐다는 점은 아쉬웠다. 직접 주차장을 가지 않아도 앱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자동차를 호출하는 점은 흥미로웠다. LG전자는 바쁜 출퇴근 시간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실증이 단순 자율주행 기술을 넘어 자율주행차-스마트폰-스쿨버스-보행자-구급차 등이 실시간으로 연결된 '미래 스마트 교통환경'을 구현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교통 시대에는 탑승자가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나 자율주행 센서가 인지 불가한 순간도 사전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
시연에 나선 자율주행차는 실제로 찰나의 순간 벌어진 상황에 빠르게 대처했다. 횡단보도에서 신호와 상관 없이 길을 건너려는 보행자를 사전에 감지하고 즉시 정차했다. 자율주행차의 카메라 센서는 통행신호인 녹색불을 확인했지만, 주변 지능형CCTV로부터 받은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로 사고를 선제 대응했다.
더불어 5G 멀티 엑세스 엣지 컴퓨팅(MEC)을 통해 선행차량 영상 전송 시연을 선보였다. 선행차량의 전방 상황을 후방차량에게 공유하는 기술이다. 차량 급감속이나 급정거 같은 돌발상황을 전달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주변 지능형CCTV로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다이나믹 맵을 통해 사각지대가 발생할 시 스스로 주행 속도를 낮췄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기반으로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를 5G-V2X 자율주행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의 △5G망 △C-ITS 기술 △LG전자의 5G-V2X 통신단말 △5G 기반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저지연 통신 기술 △자율주행·캐빈 솔루션·시뮬레이터·셔틀과의 기술 융합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계열사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최주식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자율주행의 4대 기술로 꼽히는 차량제어, 경로생성, 상황인지, 위치정보 중 차량제어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영역에서 5G 통신이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며 "LG유플러스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그룹 전체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강점을 지녔다. C-ITS 기술의 양적·질적 고도화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점진적 성장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에이스랩'과 5G 기반 도심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올해 8월부터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손잡고 자율주행특화도시 조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에이스랩 특훈교수는 "자율차 카메라 센서 인식의 장애요소(빛 굴절, 눈·비, 가로수 등)를 극복하기 위한 비용·인력 등의 자원도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상용 서비스 가격을 내려줘 자율주행 시대 대중화에도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LG유플러스는 10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V2X 기반의 일반도로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5G-V2X는 5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 기반 차량무선통신이다. 차량과 사물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차량 대 차량(V2V), 차량 대 기지국(V2I), 차량 대 보행자(V2P), 차량 대 네트워크(V2N) 등을 포함한다.
자율주행 시연은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 G80'을 이용했다. LG유플러스는 5G-V2X를 탑재한 상용차가 자율주행으로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를 달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차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 일반도로 2.5km 구간을 15분간 주행하며 6가지 핵심 기술을 선보였다.
△자율주행차 원격 호출 △선행차량 영상 전송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 △긴급차량 접근 알림 △비가시영역 '지오펜싱(지리적 울타리)' 대응 △다이나믹 맵(Dynamic Map) 기반 사고현장 회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날 시연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자율주행차를 탑승 지점으로 호출했다. 도로 안전확보 차원에서 '원격 호출'에 예상 밖의 시간이 소요됐다는 점은 아쉬웠다. 직접 주차장을 가지 않아도 앱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자동차를 호출하는 점은 흥미로웠다. LG전자는 바쁜 출퇴근 시간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실증이 단순 자율주행 기술을 넘어 자율주행차-스마트폰-스쿨버스-보행자-구급차 등이 실시간으로 연결된 '미래 스마트 교통환경'을 구현했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교통 시대에는 탑승자가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나 자율주행 센서가 인지 불가한 순간도 사전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
시연에 나선 자율주행차는 실제로 찰나의 순간 벌어진 상황에 빠르게 대처했다. 횡단보도에서 신호와 상관 없이 길을 건너려는 보행자를 사전에 감지하고 즉시 정차했다. 자율주행차의 카메라 센서는 통행신호인 녹색불을 확인했지만, 주변 지능형CCTV로부터 받은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로 사고를 선제 대응했다.
더불어 5G 멀티 엑세스 엣지 컴퓨팅(MEC)을 통해 선행차량 영상 전송 시연을 선보였다. 선행차량의 전방 상황을 후방차량에게 공유하는 기술이다. 차량 급감속이나 급정거 같은 돌발상황을 전달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주변 지능형CCTV로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다이나믹 맵을 통해 사각지대가 발생할 시 스스로 주행 속도를 낮췄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기반으로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를 5G-V2X 자율주행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의 △5G망 △C-ITS 기술 △LG전자의 5G-V2X 통신단말 △5G 기반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저지연 통신 기술 △자율주행·캐빈 솔루션·시뮬레이터·셔틀과의 기술 융합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계열사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최주식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자율주행의 4대 기술로 꼽히는 차량제어, 경로생성, 상황인지, 위치정보 중 차량제어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영역에서 5G 통신이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며 "LG유플러스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그룹 전체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강점을 지녔다. C-ITS 기술의 양적·질적 고도화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점진적 성장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에이스랩'과 5G 기반 도심도로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올해 8월부터는 세종특별자치시와 손잡고 자율주행특화도시 조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에이스랩 특훈교수는 "자율차 카메라 센서 인식의 장애요소(빛 굴절, 눈·비, 가로수 등)를 극복하기 위한 비용·인력 등의 자원도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상용 서비스 가격을 내려줘 자율주행 시대 대중화에도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