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프로농구(NBA)도 그런 경우다. NBA는 중국 시장의 최대 수혜자였다. 지난해 NBA의 중국 내 사업 규모는 40억달러(약 4조8000억원)에 달했다. 중국 내 시청자수가 연간 5억~6억 명에 달한다. 하지만 프로농구팀 휴스턴 로케츠의 데럴 모리 단장이 올린 “자유를 위한 싸움, 홍콩을 지지한다” 트윗이 양국 외교 문제로까지 번졌다. 중국 관영매체가 NBA 보이콧을 선언하고, 방송사는 시범경기 중계방송을 중단했다. 중국 기업들의 후원 중단도 줄을 잇고 있다.
로케츠 구단과 NBA 사무국이 사과했지만, 미국 정치권에서 “언론자유가 박탈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애덤 실버 NBA 총재가 “표현의 자유를 지지한다”고 밝혀 논란은 확산되고 있다.
중국의 ‘뒤끝’과 옹졸함을 이미 경험한 우리에게 중국의 NBA 보복은 남 일 같지 않다.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에 나선 지 2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상처는 깊다.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급감했고, ‘한한령(限韓令)’이 계속되면서 한국 드라마는 중국 TV에서 자취를 감췄다. K팝 스타들의 대규모 공연도 중단됐다. 롯데마트는 큰 피해를 입고 중국에서 철수했다.
중국이 외교 안보를 이유로 경제 보복을 한 사례는 많다. 2008년 프랑스의 사르코지 대통령이 티베트인들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를 면담하자 카르푸 불매 운동을 벌이고,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중국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가 선정되자 노르웨이 연어 수입을 중단했다. 이런 중국이 세계를 이끌 지도국가 반열에 오를 수 있을지 의문을 갖게 한다.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등지의 개발도상국들에 악몽이 되고 있다. 인프라 건설을 위해 중국으로부터 빌린 돈을 갚지 못해 항만시설 등을 넘겨주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중국몽’은 중국에는 꿈이지만, 이들 나라에는 악몽이나 다름없다.
양준영 논설위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