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석 서울대 교수 "재활 통해 환자들 사회 복귀할 때 가장 보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교통재활병원장 취임한
방문석 서울대 교수
척수손상·뇌성마비 최고 권위자
서울패럴림픽서 재활의학 '인연'
방문석 서울대 교수
척수손상·뇌성마비 최고 권위자
서울패럴림픽서 재활의학 '인연'
![방문석 서울대 교수 "재활 통해 환자들 사회 복귀할 때 가장 보람"](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725912.1.jpg)
지난 1일 취임한 방문석 신임 국립교통재활병원장(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58·사진)은 재활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방 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재활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장애 환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아시아 최고의 외상재활병원, 자동차보험 재활의료 정책선도병원, 재활전문가를 배출하는 인재양성병원, 미래의 재활을 실현하는 임상연구병원을 구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국립교통재활병원은 경기 양평에 연면적 4만2506㎡, 총 201병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의사 15명 등 약 3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외래환자 3만7182명, 입원환자 6만3418명, 주간 재활환자 9263명이 진료를 받았다.
환자들이 정상적으로 사회에 복귀하고 정착할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고 방 원장은 말했다. “뇌성마비 환자로 태어난 어린아이가 훌륭하게 커서 대학에 합격했다는 연락을 받으면 그렇게 기분이 좋을 수 없습니다. 또 불의의 사고를 당해 사지가 마비된 직장인이 보조기구 등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으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면 뿌듯합니다.”
방 원장은 교통사고 환자 유형에 따른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과 합리적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체계도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그는 “재활의학은 인공지능(AI)·빅데이터·로봇 등 첨단 기술과 뇌과학·공학 등 여러 학문 분야가 융합해 발전하고 있다”며 “서울대와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재활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