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장안111-4구역 분양 등 줄줄이 공급 계획
부동산 인포에 따르면 4분기에 예정된 물량만 해도 일반분양 기준 4560가구에 달한다. 2009년 이후 10년만의 최대 물량이다. 사업이 진행 중인 곳은 총 26개 구역이다. 관리처분계획인가까지 받은 곳만도 재개발 8곳, 재건축 1곳 등이다. 계획 세대수는 총 1만8287가구에 이른다.
수원시는 1970년대부터 경부고속도로와 1호선 전철의 개통으로 서울의 기능을 분담하는 위성도시로 성장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호매실 택지개발, 광교신도시 등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됐다.
기존의 원도심 지역은 노후 주거지가 됐다. 수원시가 지난해 경기도에 제출한 ‘수원시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르면 수원시 44개 행정동 중 26개 동이 법정 노후주택비율 쇠퇴충족기준(준공 후 20년 넘은 건축물이 50% 이상)을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고시된 ‘2010 수원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는 1970년대 이후 대량 공급된 주택의 노후화 해소가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당시 장안구 5개 구역(111-1~5구역), 권선구 12개 구역(113-1~12구역), 팔달구 12개 구역(115-1~12구역) 등 약 260만㎡에 달하는 총 29개 구역이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다. 이 중 가장 빠르게 사업이 진행 중인 곳은 이달 말 분양을 앞둔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장안111-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이다. 장안111-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은 포스코건설이 시공하고, 정식 단지명은 ‘광교산 더샵 퍼스트파크’다. 지하 3층~지상 최고 21층, 총 8개동, 총 66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일반분양분은 475가구이며, 전용면적 36㎡~84㎡의 중소형으로 구성된다. 수원 도심 내 첫 선을 보이는 더샵 브랜드 단지로서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단지 바로 옆에 영화초등학교가 있고, 수성·수원북중도 가깝다. 장안구청 및 홈플러스와 CGV 영화관, 수원KT위즈파크, 조원시장 등의 편의·문화시설이 도보 거리에 있다.
팔달115-6구역(팔달 6구역) 재개발 사업을 비롯해 팔달115-8구역(팔달 8구역), 권선113-12구역 등이 이르면 연내 일반분양을 목표로 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 중 팔달 6·8·10구역 및 권선 6구역 등은 매교역 주변에서는 재개발이 한꺼번에 추진되고 있다.
팔달6구역은 교동 155-41 일대 13만9000여㎡부지에 지하 3층, 지상 15층, 33개동, 총 2586가구가 예정됐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이 시공한다. 팔달8구역은 매교동 209-14 일원 22만2489㎡에 지하 2층, 지상 20층 52개동으로 3603가구로 시공된다. 대우건설과 SK건설이 짓는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수도권 정비사업은 인프라가 갖춰진 원도심에 주로 건설되는 것이 특징”이라며 “다양한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수원의 경우 판교·광교 등 인근 지역의 집값 상승으로 한층 많은 기대가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