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의료강국 대한민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상은 < 서울대 의대 교수 brainkimm@hanmail.net >
![[한경에세이] 의료강국 대한민국](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07.20429016.1.jpg)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의료 기술을 보유한 의료강국이다.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기술이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 암 환자 생존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국가암등록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2016년 사이 진단된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암 환자가 일반인과 비교해 5년간 생존할 확률)은 70.6%에 달한다. 대장암과 위암 생존율은 세계 1위다.
해마다 10월이 되면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한국인 수상자가 나올지 매번 관심이 모아진다. 한국은 산업화와 압축 고도성장 과정에서 기초과학보다는 응용과학과 기술 개발에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 투자했다. 그 결과 짧은 시간에 기술강국으로, 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반면 생리의학·물리학·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나오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한 번도 배출하지 못했다.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원은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제대로 된 기초 연구의 역사가 30년도 채 되지 않는 셈이다. 이달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의 핵심연구 시작 단계부터 노벨상 수상까지 걸린 총 기간은 평균 31.4년이었다. 한국의 의료·의학이 세계 최고의 의료 기술과 노벨 과학상,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