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사태'로 존재감 커진 이낙연…與 '총선 등판' 놓고 고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李 '최장수 총리' 기록 경신 눈앞
"총선 활용" vs "유임시켜 뒷수습"
민주당 내부서 의견 엇갈려
"총선 활용" vs "유임시켜 뒷수습"
민주당 내부서 의견 엇갈려
이낙연 국무총리가 이달 중 역대 최장수 총리 기록을 갈아치울 전망이다. 이 총리의 재임 기간이 길어지는 만큼 향후 행보를 놓고 여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7일 총리실에 따르면 2017년 5월 31일 문재인 정부 초대 총리로 임기를 시작한 이 총리는 오는 28일 재임 881일을 맞는다. 1987년 10월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이명박 정부 김황식 전 총리의 기록을 깨고 총리로서 최장 재임 기간이 된다. 김 전 총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2013년 2월 26일까지 880일 동안 총리직을 수행했다.
정부 내에서 이 총리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그의 향후 거취를 놓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고심이 크다. 여권 내 차기 대권 주자 중 꾸준히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총리를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과 총리직에 유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당내에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는 최근 민주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에서 마이크를 들고 (선거에서) 뛰라면 뛰고, 총리를 더 하라면 하겠다”며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당은 12월께 내각에서 이 총리가 빠져나오면 총선 ‘간판’으로 내세우는 방안을 고려했다. 호남과 중도층의 지지를 두루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이 총리가 당의 총선 승리에 꼭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총리 역시 올해 총리직을 내려놓겠다는 의사를 청와대에 수차례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조국 국면’을 거친 여당 내에서는 이 총리를 유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거세지는 분위기다.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 후 분열된 여론을 수습하고 정부 운영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조 전 장관 사태로 거세진 야당의 공세와 국회 인사청문회에 대한 부담도 이 총리 유임설에 힘을 싣는다.
한 민주당 의원은 “총리와 법무부 장관 인사는 국회의 검증을 통과하느냐가 제일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총리 임명은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만 하는 만큼 인사청문회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17일 총리실에 따르면 2017년 5월 31일 문재인 정부 초대 총리로 임기를 시작한 이 총리는 오는 28일 재임 881일을 맞는다. 1987년 10월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이명박 정부 김황식 전 총리의 기록을 깨고 총리로서 최장 재임 기간이 된다. 김 전 총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2013년 2월 26일까지 880일 동안 총리직을 수행했다.
정부 내에서 이 총리의 존재감이 커지면서 그의 향후 거취를 놓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고심이 크다. 여권 내 차기 대권 주자 중 꾸준히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총리를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과 총리직에 유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당내에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는 최근 민주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에서 마이크를 들고 (선거에서) 뛰라면 뛰고, 총리를 더 하라면 하겠다”며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당은 12월께 내각에서 이 총리가 빠져나오면 총선 ‘간판’으로 내세우는 방안을 고려했다. 호남과 중도층의 지지를 두루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이 총리가 당의 총선 승리에 꼭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총리 역시 올해 총리직을 내려놓겠다는 의사를 청와대에 수차례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조국 국면’을 거친 여당 내에서는 이 총리를 유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거세지는 분위기다.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 후 분열된 여론을 수습하고 정부 운영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조 전 장관 사태로 거세진 야당의 공세와 국회 인사청문회에 대한 부담도 이 총리 유임설에 힘을 싣는다.
한 민주당 의원은 “총리와 법무부 장관 인사는 국회의 검증을 통과하느냐가 제일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총리 임명은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만 하는 만큼 인사청문회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